[미디어펜=이상일 기자] 55∼64세 장년층 남성 고용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상위권 수준인 반면 25~54세 여성 고용률은 최하위인 것으로 집계됐다.
|
|
|
▲ 55∼64세 장년층 남성 고용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상위권 수준인 반면 25~54세 여성 고용률은 최하위인 것으로 집계됐다./사진=채널A 방송 캡처 |
28일 OECD의 2015년 2분기 회원국 고용률 동향에 따르면 한국의 55∼64세 장년층 고용률은 65.5%로 OECD 평균 58%와 주요7개국(G7) 평균 61.3%를 웃돌았다. OECD 34개 회원국 중에는 9위로 상위권을 차지했다.
남성 장년층 고용률은 78.8%로 OECD 평균 66.8%를 10%포인트 넘게 상회해 34개 회원국 중 최상위권인 6위에 올랐다. 여성 장년층 고용률도 52.5%로 OECD 평균 49.8%보다 높아 34개 회원국 중 16위를 차지했다.
OECD 고용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년층 피고용자의 49.5%는 시간제나 임시직 노동자였다.
전문가들은 노후 생계비를 위해 다시 고용시장에 뛰어든 여성 장년층은 시간제 일자리 비중이 높은 보건이나 복지, 서비스업종으로 흡수되고 있으며 정년 연장과 퇴직 후 자영업에 뛰어들어 비임금 근로자로 분류되는 장년층이 늘어나 고용률이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올해 2분기 15∼64세 한국 여성고용률은 55.4%로 전분기에 비해 0.2%포인트 하락했다. 고용률이 전분기 대비 하락한 것은 1년 만이다.
한국의 여성고용률은 OECD 34개 회원국 중 28위로 주요 7개국(G7) 평균인 63.4%는 물론 OECD회원국 평균(58.4%)보다도 낮다.
OECD 국가 중 여성고용률이 가장 높은 아이슬란드(82.1%)나 스위스(75.6%)와는 거의 30% 포인트 차이가 난다.
출산·육아기에 해당하는 25∼54세의 여성고용률은 62.9%로 G7평균 71.9%는 물론, OECD 평균 67.3%를 크게 밑돌아 34개 회원국 중 30위를 차지했다.
15∼64세 한국 남성고용률은 75.6%로 OECD 평균 74%를 상회했으며 34개 회원국 중 15위를 차지했다. 25∼54세 남성 고용률은 87.9%로 역시 OECD평균 85.7%를 웃돌았고, 34개 회원국 중에서는 11위로 상위권이었다.
이지선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전형적인 M자형으로 20대 초중반 높아졌다고 30대가 되면서 낮아지고 50대 이후 높아진다"며 "여성고용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육아와 일을 병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게 최우선"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