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고이란 기자] 조선업계 빅3로 불리는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이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삼성중공업은 흑자 전환했으며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은 2분기에 이어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28일 금융감독원의 전자금융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조선3사 중 삼성중공업은 유일하게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조선업계 빅3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이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삼성중공업은 흑자 전환했으며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은 2분기에 이어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사진은 각사 해양플랜트 모습. /사진=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홈페이지

삼성중공업은 3분기 매출액 2조 4364억원, 영업이익 846억원, 당기순이익 505억원을 기록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2분기 1조5481억원의 영업손실과 1조155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바 있다.

예상보다 높은 영업이익을 달성한 것은 의미 있지만 실적이 정상화됐다고 판단하기에는 이르다는 것이 업계의 의견이다.

3사 중에 해양플랜트 비중이 가장 높은 삼성중공업은 에지나(Egina) 프로젝트 등의 공정진행률이 계획보다 늦어지고 있다. 또한 3분기 영업익 846억원 가운데 약 410억원은 일회성 이익이라는 점도 4분기 실적을 지켜봐야할 부분이다.

이와 관련해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이번에 손익을 재점검하면서 진행 중인 공사의 원가 차질 내용을 바탕으로 생산 초기 단계에 있거나, 아직 생산 착수 전인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예상되는 모든 리스크를 도출해 반영한 만큼 향후 추가 부실이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설명했다.

현대중공업은 3분기 매출액 10조9184억원, 영업손실 6784억원, 당기순손실 4514억원의 실적을 발표했다. 지난 2분기에 비해 매출은 8.7% 줄고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은 각각 5074억원, 2,090억원 늘었다.

현대중공업은 조선부문 반잠수식시추선 계약 취소에 따른 선 손실을 반영했고 유가하락 등 해양부문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예상 손실 충당금도 함께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현대커민스 등 부실법인과 중국 건설장비 사업 정상화를 위한 중국내 법인 청산 등 사업 구조조정 비용이 증가해 영업손실이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현대중공업은 8분기 연속 적자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증권업계는 적자 자체보다 동일한 문제가 매 분기 반복되고 있다는 것이 더 우려스럽다고 분석하고 있다. 또한 조선3사 중에 유일하게 노조와의 임금협상을 매듭짓지 못하고 난항 중이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3분기 실적과 관련해 “흑자전환에는 실패했지만 인력효율화도 마무리된 상태고 현대자동차 주식 매각, 현대상선 주식의 교환사채 발행 등을 통해 유동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며 “내년부터 사업대표 중심의 책임경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조직정비 작업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고 말했다.

경영정상화를 위해 노조가 임금인상과 파업권까지 포기하고 나선 대우조선해양은 3분기 매출액 3조1554억원, 영업손실 1조2171억원, 당기순손실 1조3643억원을 기록했다. 3분기까지 올해 4조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발표한 것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최근 실시된 채권단 실사과정에서 파악된 총예정원가의 추가반영분과 드릴십 계약해지, 장기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 등을 3분기 실적에 모두 반영했고 이와 함께 드윈드, 망갈리아 조선소 등 해외 자회사에서 발생한 손실도 추가로 반영했다고 밝혔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현재 대우조선해양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주잔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체 잔량중 42%가 고부가가치선박인 LNG선과 LPG선 등 가스선으로 구성돼 이들 선박이 본격적으로 생산되는 내년부터는 수익성도 개선될 것이다”고 전망했다.

대우조선해양이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보수적으로 대규모 손실을 털어낸 만큼 추가적인 대규모 손실 사태 가능성은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우조선해양의 정상화를 위한 지원방안도 오는 29일 산업은행의 이사회를 거쳐 발표될 예정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국제유가 하락과 공급과잉으로 해양플랜트 발주 지연이 불가피하고 올해 발주 예정된 대부분의 해양프로젝트가 내년으로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내년 발효 예정인 질소산화물규제를 회피하기 위한 선박발주가 올해 선제적으로 나타나 선박 수요 둔화 또한 불가피하다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