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한국 영화시장을 들썩였던 '국제시장', 개봉한 직후 아산 정주영 명예회장의 향수를 느꼈다. 성공과 철학 그리고 도전정신과 꿈 등 정 명예회장이 남긴 일화는 '신화'로 재생산됐기 때문이다.지난 2008년 당시 현대중공업 광고에서 500원 지폐 속 거북선에 착안해 기지를 발휘, 불가능할 것 같았던 차관을 도입해 조선소 건립에 성공 이후 백사장 사진을 선박수주에 성공했다는 일화는 '존경'의 키워드로 SNS에서 회자되고 있다. 그의 신화같은 일화는 인상 깊은 스토리텔링으로 많은 영향력을 끼쳤고 아산의 기지와 해학, 적극적인 도전정신은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대한민국의 청년들의 현실을 개탄하는 신조어인 '헬조선'이 등장했다. 10만명에 육박하는 청년 실업 속에 도전정신은 희석되고 열정페이에 청년들의 현재가 위축되고 있다. 고용 개혁 속 세대간의 갈등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이때, 정 명예회장의 일화는 다시금 젊은이들의 도전정신과 철학을 재조명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불굴의 개척자 정 명예회장의 어론으로 본 아산 탄생 100주년을 조명해본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①70원으로 뭘하겠어? 정주영 회장이 노할라
②꿈 잃은 8포 세대에게 "이봐, 해봤어?"
③"길을 몰라, 그러면 찾아야지"
④"잘 먹고 잘사려고? 좋은 일을 해야지"
⑤불굴의 희망가 "실패는 없다"
“모든 것은 위기 속에서 나왔다”

[미디어펜=김태우기자]현재 어려운 환경을 살아가는 8포 세대들에게 위기의 순간을 기회로 바꾼 아산 정주영 명예회장의 거꾸로 보는 생각과 함께 “이봐, 해봤어?”라는 어록이 경각심을 불어넣고 있다.

시작도 해보기 전 포기를 먼저 생각하고 미래에 대한 두려움으로 시작을 거부하는 이들에게 아산의 이 어록은 “포기하지 말고 도전을 해봐”라고 격려와 응원의 메시지를 전하는 듯 하다.

아산 정주영 명예회장의 어록중 가장 회자가 많이 되는 “이봐, 해봤어?”는 많은 상황에서 우스갯소리와 조언으로 충고와 격려를 해줄 때 많이 사용되는 말이다.

이 말은 대한민국이 놀란 역사적인 사건 속에서 나왔다. 거꾸로 생각하는 역발상 경영의 시초가 되었던 천수만 간척지 사업의 현장에서 위기 속에서 해법을 찾은 그 만의 놀라운 발상이 한국을 넘어 세계를 놀라게 했다.

   
▲ 서산 천수만 간척사업 현장에서 진두지휘를 하고 있는 아산 정주영 명예회장/아산 정주영닷컴
어려운 여건속 모두가 포기를 생각하고 시도조차 하지 못할 경제위기를 걷고 있는 현재의 8포(연애, 결혼, 출산, 내집마련, 인간관계, 꿈, 희망, 삶을 포기한) 세대들에게 꼭 필요한 문구일 것이다.

정 명예회장의 이에 대한 일화는 198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서산 천수만 간척 사업이의 막바지 물막이 작업만 남은 상황. 하지만 밀물과 썰물의 극심한 차이로 설치해 둔 오다리가 부러질 정도로 급한 물살에 공사가 난항을 겪고 있었다.

A·B지구 방조제 총 연장 7700m의 현장에 연이원 235만명의 근로자가 투입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바다에 쏟아 부은 토석만 덤프트럭 51만4300대분량이 투하됐다. 문제는 마지막 남은 270m구간. 성공적으로 끝을 바라보던 공사의 가장 큰 난제가 발생했다.

초속 8m의 급류에도 강행됐던 공사현장의 당시 참가자는 “아무리 돌을 쏟아 부어도 소용없었다”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4.5톤의 자동차만한 큰 바위도 성난 물살은 순식간에 쓸어가 버렸다.

여태껏 쏟아 부은 노력이 한순간 물거품이 될 수도 있는 위기의 순간 아산의 머릿속을 스쳐가는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있었다. 울산항에 정박시켜 놓은 폐 유조선 ‘워터베이호’였다. 정주영 명예회장의 생각은 배는 띄울 수도 있지만 가라앉힐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아산 정주영 명예회장은 당시 인터뷰에서 “우리가 최종체재가 어렵기 때문에 25만톤 이런 유조선을 고철로 뜯는 배를 사들여다가 이 체재 할 적에 물을 넣어서 가라앉혀 쓸 것이다”고 밝혔었다.

이런 그의 이론은 1984년 2월 25일 정주영 공법으로 불리우며 실시됐다. 길이320m, 폭 45m, 높이 27m 울산항에서 서산 앞바다로 예인된 22만6000톤 급 최대형 유조선 하지만 초속 8m의 유속은 유조선마저도 밀어냈다.

당시 영상자료를 보면 이런 상황에서 뒤로 물러나 관찰하는 정주영 명예회장이 아닌 유조선에 직접 올라 현장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자신의 생각을 표현해 내는 대에는 직접 움직이는 것이 최선인 법. 대를 이은 현장경영으로 유명한 정씨 가문의 모습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1시간 내에 1만 6000톤의 물을 채워야 가라앉는다”며 거친바다와 24시간의 질긴 사투를 벌인 아산. 마침내 완전히 가라앉은 유조선과 동시에 양쪽에서 쏟아지는 흙과 돌들은 마지막 남은 구간의 물길을 차단하는데 성공했다.

   
▲ 서산 천수만 간척지 사업은 정주영공법으로 시행된 최초의 공사로 공사기간은 3년이 줄었고 약 290억원의 비용이 절감됐다./아산 정주영닷컴
불가능할 것 같은 정주영 공법이 세계를 놀라게 하며 성공을 해낸 것이다. 한반도의 지도를 바꾼 역사로 기록됐다. 김제평야보다 넓은 땅이었다. 여의도의 33배에 가까운 땅이었다.

이 공사는 정주영공법을 이용해 공사기간 또한 3년이란 시간을 단축시켰다. 비용으로 따지면 약 290억원을 절감한 샘이다.

식량 자급자족의 염원이던 농부였던 아버지를 위한 아들의 선물이었다. 아산은 이 사업에 성공한 뒤 “그 옛날 손톱이 닳아 없어질 정도로 돌밭을 일궈 한 뼘 한 뼘 농토를 만드신 아버지에 바치고 싶었던 때늦은 선물이다”고 말했다.

위기를 기회로 바꾼 창의적인 생각이었다. 당시 정주영공법은 시도된적 없는 놀라운 이론이었고 주위에선 불가능할 것이라 반대하는 이들도 있었다. 하지만 당시 정주영 명예회장은 “이봐, 해봤어?”라는 말과 함께 생각을 행동으로 옯겼던 것이다.

정 회장은 생가하며 사는 사람은 보통사람의 10배, 100배의 일을 해 낼수 있다는 말읗 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세계를 놀라게 한 간척지 사업, 한반도의 지도를 바꾼 유례없는 놀라운 일을 성공시킨 그는 모든 성공의 비결이 위기에서 나왔다는 말을 남겼다.

즉 어려운 시대 환경이 지금의 현대그룹을 만들어낸 정주영회장의 저력이 되었다는 것이다. 현재 글로벌 시장위기로 힘든 경재로 취업난에 허덕이고 금전적으로 힘들어 모든 것을 포기하고 있는 젊은이들에게 가장 결핍된 ‘도전정신’을 일깨워주는 중요한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