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추가경정예산안으로 9591억 원을 편성했다. 이 중 미국 관세 조치 등으로 인한 통상 리스크 대응에 6500여억 원을 쏟는다.
|
 |
|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산업부는 18일 국회에 총 13개 사업에 대한 9591억 원 규모의 추경예산안을 제출한다고 밝혔다.
이번 추경예산안은 급격한 통상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과 첨단산업 경쟁력 제고를 중점으로 편성됐다.
먼저 미국 상호관세 부과 등으로 인한 기업들의 피해와 경영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 6531억 원을 추가 투입한다. 관세 대응 수출 바우처와 관세 대응 119 운영 등에 888억 원을 편성해 국내 기업들이 당면한 미국 관세조치 관련 수출애로 해소를 지원한다.
무역기술장벽 대응 지원 74억 원, 통상기반조성 및 역량 강화 등도 19억 원으로 증액했다. 무역보험기금에는 3000억 원 추가 출연해 우리기업의 방산·선박 등 해외수주를 뒷받침한다는 구상이다. 유턴기업과 외투기업 투자 지원을 위해 396억 원을 들여 국내 투자 유치를 활성화한다. 공급망 안정화 지원을 위해 국내 생산 및 광물 비축에 2154억 원을 편성했다.
반도체·이차전지 등 첨단산업 육성과 지원에 총 3060억 원을 증액했다.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전력과 폐수 등 기반시설 구축에 1170억 원을 추가 지원한다. 용인·평택 반도체 특화단지 송전선로 지중화 사업에는 626억 원 신규 투입한다.
팹리스 기업들이 가격 문제로 구축하기 힘들었던 칩 검증 장비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23억 원을 증액했으며, 반도체 인력 양성 센터인 '반도체 아카데미'의 비수도권 지역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10억 원을 편성했다.
소부장기업 투자지원금 700억 원을 추가 편성해 기업 신규 투자를 촉진하고, 자동차 부품업체의 친환경차 투자 관련 대출 이자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20억 원을 지원한다. 산업단지환경조성사업에 511억 원을 증액해 디지털 인프라를 확충하는 등 산단 고도화를 추진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추가경정예산안이 국회 심의를 통해 확정되는 대로 이를 조속히 집행하고, 관리에도 최선을 다해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