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한국 영화시장을 들썩였던 '국제시장', 개봉한 직후 아산 정주영 명예회장의 향수를 느꼈다. 성공과 철학 그리고 도전정신과 꿈 등 정 명예회장이 남긴 일화는 '신화'로 재생산됐기 때문이다.지난 2008년 당시 현대중공업 광고에서 500원 지폐 속 거북선에 착안해 기지를 발휘, 불가능할 것 같았던 차관을 도입해 조선소 건립에 성공 이후 백사장 사진을 선박수주에 성공했다는 일화는 '존경'의 키워드로 SNS에서 회자되고 있다. 그의 신화같은 일화는 인상 깊은 스토리텔링으로 많은 영향력을 끼쳤고 아산의 기지와 해학, 적극적인 도전정신은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대한민국의 청년들의 현실을 개탄하는 신조어인 '헬조선'이 등장했다. 10만명에 육박하는 청년 실업 속에 도전정신은 희석되고 열정페이에 청년들의 현재가 위축되고 있다. 고용 개혁 속 세대간의 갈등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이때, 정 명예회장의 일화는 다시금 젊은이들의 도전정신과 철학을 재조명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불굴의 개척자 정 명예회장의 어론으로 본 아산 탄생 100주년을 조명해본다. -편집자 주- |
<글 싣는 순서>
①70원으로 뭘하겠어? 정주영 회장이 노할라
②8포 세대들아 들어라 "이봐, 해봤어?"
③"길을 몰라, 그러면 찾아야지"
④"잘 먹고 잘사려고? 좋은 일을 해야지"
⑤불굴의 희망가 "실패는 없다" |
"시련이란 뛰어 넘으라고 있는 것, 걸려 엎어지라고 있는 것 아냐“
[미디어펜=김태우기자]정주영 명예회장의 “길을 몰라, 그럼 찾아야지”라는 말은 어려운 취업난에 길을 잃은 수많은 청년들에게 따끔한 충고를 하는 듯하다.
어려운 여건에서 “길이 없으면 찾고, 그래도 없으면 닦아가는 것”이라는 일념으로 현대그룹을 이끌어온 그의 투철한 도전정신을 보였던 그였기에 설득력을 더한다.
아산은 “시련이란 뛰어 넘으라고 있는 것이지 걸려 엎어지라고 있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수많은 첫 길을 만든 사람이자 현장의 호랑이로 불렸던 아산 정주영 명예회장의 길엔 2가지 사건이 있다.
첫 번째는 경험과 기술 축적이라는 무형의 재산에 관한 길이었고, 두 번째는 우리나라 경제 성장의 디딤돌 산업과 국민생활의 대동맥 경부고속도로다.
1960년대에 접어들며 정부주도의 국내 건설투자에 한계가 온 상황 아산은 건설업의 큰 위기 속에서 새로운 도전을 선택했다. 아산 정주영 명예회장은 건설경기가 힘들어지자 모두 발만 구르고 있는 시점에서 과감한 결단력을 보였다.
정주영 명예회장은 해외에서 난국을 돌파할 길을 찾았다. 한계를 다한 국내가 아닌 보다 넓은 땅에서 길을 찾기 위해 떠난 것이다.
이에 1965년 정주영 명예회장은 16개의 선진국 업체들과 경쟁에서 뚝심과 배짱만으로 태국 파타니에서 나라티왓 구간의 고속도로 건설공사를 수주에 성공했다. 이는 국민과 나라의 기대 속에 성공한 첫 해외 진출이었다.
하지만 국내에 고속도로 하나 없던 시절 이었고 해외 공사 경험 또한 전무한 시점이었다. 결과는 쉽지 않았다. 현지 상황도 정 명예회장의 뜻을 쉽게 받아들여주지 않았다.
계속되는 폭우와 기술부족에서 오는 공사지연 등으로 눈덩이처럼 늘어만 가는 공사비에 피해가 이만저만 아니었다. 그렇다고 국민들의 기대 속에 시작한 공사를 중도 포기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
아산은 당시 “손실이 있어도 공사는 끝내야 한다. 회사를 위해서만이 아니라 나라를 위해서도”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당장의 악조건 속 현실과 회사만을 생각하면 누구든 포기하고 고국으로 발길을 돌렸을 상황이지만 아산은 당시공사를 국민과의 약속으로 생각하며 책임감을 갖고 완성시키려 노력했다.
이런 정주영 명예회장의 노력의 결과 마침내 우리기술로 해외에서 첫 공사를 완료했다. 이는 현대와 정 명예회장 만의 일이 아니었다. 국내기업들이 해외로 진출 할 수 있는 길을 닦은 것이었다.
이어 베트남, 알래스카, 괌, 파푸아뉴기니, 중동 등 다양한 나라의 공사수주를 차례차례 따내며 새 길을 열었다. 악조건 속에서 없는 길을 닦아 온 그의 노력이 만든 값진 길이었다.
또 하나의 길은 현재 한반도를 1일 생활권으로 만들어준 경부고속도로였다. 국토의 대동맥이자 단국 이래 최대 토목공사였고 국가적인 모험이었다. 또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단 시일 내에 경부고속도로를 건설애야 했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428Km를 3년 안에 완공해야 했다.
1968년 2월 1일 착공을 시작한 경부고속도로는 최단기간 완공을 성공시키기 위해 아산의 선택은 기계화였다. 중장비 1989대가 동원됐고 연인원 900만명의 투입됐다. 공사는 순조로와 보였다.
수원을 지나 먕향, 천안 예상대로 진행돼가는 모습이었다. 하지만 여기서도 고미가 왔다. 대전에서 대구로 이어지는 구간의 옥천공구 당제터널이었다.
무너지는 흙과 계속되는 낙반사고로 하루에 2m를 전진하기도 힘든 상황이었다. 모두가 공사기한을 맞추기 어려울 것이라 예상했다. 아니 불가능을 외쳤다. 하지만 이때도 정주영회장의 기지는 발휘됐다.
느려진 기간만큼 빨리 마무리를 짓겠다는 일념으로 소재의 변화를 통해 토목사업의 새장을 연 것이다. 값은 비싸지만 20배는 빨리 굳는 조강 시멘트를 생산해 경부고속도로 공사현장에 투입했다.
이에 3개월의 기간이 소요될 공사를 돌관작업 25일 만에 완료해냈다. 이런 아산의 놀라운 발상은 마침내 1970년 7월7일 세계 최단기간 2년5개월 만에 428Km 경부고속도로 개통이라는 신기록을 수렴했다.
개통된 해 연간 368만대의 차량이 이용했고 그 첫길을 연지 40년 후 100매가 넘는 3억8000만대의 차량이 이용했다. 이것이 바로 우리나라 경제 성장의 디딤돌 산업과 국민생활의 대동맥 경부고속도로인 것이다.
정 명예회장은 "세상일에는 공짜로 얻어지는 성과란 절대로 없다. 보다 큰 발전을 희망한 모험에는 또 그만큼의 대가도 치러야 한다"는 말을 남겼다.
즉 현재 걷고 있는 역경의 길을 지나면 그에 맞는 보답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란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