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카드론 평균금리는 15%에 육박하며 레고랜드 사태 당시인 2022년 말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카드사들은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공급 규모를 조절하기 위한 조치라는 입장이다.
지난해 금융위원회는 카드사에 2025년 카드론 관리 목표치를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카드사는 금융당국 가이드에 따라 카드론을 전년 대비 3~5%만 늘리겠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
 |
|
▲ 사진=연합뉴스 |
22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9개 카드사(롯데·BC·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카드)의 지난달 카드론 금리 평균은 연 14.83%로 전월(14.64%) 대비 약 0.19%포인트(p) 올랐다. 지난해 3월 14.46% 대비해서는 0.37%p 오른 것으로 2022년 12월 14.84%에 육박한다.
카드론 조달금리인 여신전문금융채(여전채) 금리가 2022년 레고랜드 사태로 인해 같은 해 11월 6%를 넘어서는 등 급등했다가 채권시장 안정과 기준금리 인하 등 영향으로 올해 들어 2%대로 내려온 것과는 대비되는 수치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0월과 11월 두 차례, 올해에도 2월 한 차례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 카드론 금리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카드론 금리 상승이 지속되면서 특히 저신용자 등 취약차주의 이자 부담이 커지고 있다.
카드론은 시중은행보다 상대적으로 쉽고 빠르게 돈을 빌릴 수 있으나 평균금리가 10%대로 높아 급전이 필요한 저신용자들이 주로 찾는 상품으로 연체율 악화 우려가 나온다.
지난해 3월과 올해 3월 900점 초과 고신용자의 카드론 평균금리는 11.89%로 동일했으나 700점 이하 저신용자의 평균금리는 같은 기간 17.34%에서 17.66%로 0.32%p 올랐다.
카드론 이용자의 절반 이상은 금융사 3곳 이상에서 중복으로 대출받은 다중채무자이고, 카드론 문턱이 높아질 경우 저신용자가 제도권 밖의 대출로 밀려날 수 있다는 점도 우려를 키우는 지점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카드 대금, 할부금, 리볼빙, 카드론, 신용대출 등의 1개월 이상 연체율을 뜻하는 카드사의 연체율은 1.65%로 전년 말(1.63%) 대비 0.02%p 상승해 2014년(1.69%)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여전채 금리 인하로 조달비용 부담이 완화됐음에도 카드론 금리가 여전히 높은데 대해 카드사들은 금융당국의 가이드와 리스크 관리를 위해 공급 규모를 조절하다보니 발생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규제에 맞춰 카드론 잔액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금리를 높이는 수밖에 없다"며 "당분간은 금리를 크게 인하하지 못하고, 취급액도 늘리지 못할 것 같다"고 말했다.
다른 카드업계 관계자는 "조달금리가 낮아졌으나 연체율이 높아지는 등 대손비용이 증가해 금리가 천천히 내려가는 것으로 보인다"며 "저신용자 유입이 많은 것도 평균금리가 높아진 원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카드사는 금융당국과 협의된 자율규제인 '카드대출 금리체계의 합리성 제고를 위한 모범규준'에 따라 금리를 산정하는데 카드론 금리를 구성하는 원가로는 조달원가(조달금리), 신용원가(대손비용), 업무원가(영업비용), 자본원가(필요자본의 기회비용)이 꼽힌다.
한편 지난달 카드론 잔액은 42조3720억원으로 분기말 부실채권 상각과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방안 시행 영향으로 역대 최다였던 전월 말(42조9888억원) 대비 약 6000억원 줄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