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올해 3월 시작된 포스코 비리 수사가 8개월 만에 마무리 단계에 돌입했다.
1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는 이르면 이번주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의 신병 처리를 결정하고 사실상 포스코 수사를 종결할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그룹 비리의 정점으로 지목한 정준양 전 회장을 직접 겨냥해 수사를 이어나갔다.
|
 |
|
▲올해 3월 시작된 포스코 비리 수사가 8개월 만에 마무리 단계에 돌입했다. /사진=TV조선 방송화면 |
특히 포스코그룹이 플랜트업체 성진지오텍의 지분을 시세의 배에 가까운 가격으로 사들였다는 의혹에 정 전 회장이 깊이 개입했다고 보고 수사를 벌였다.
정 전 회장의 소환을 앞둔 8월 말께 검찰은 돌파구를 찾았다. 이상득 전 의원 등 포항에 지역 기반을 둔 유력 정치인들을 배후로 둔 몇몇 협력사들이 포스코로부터 일감을 특혜수주했다는 첩보였다.
검찰은 9월 들어 이 전 의원의 측근 박모씨가 실소유주인 티엠테크 등 일감 특혜수주 의혹을 받는 업체들을 잇달아 압수수색했다.
이 전 의원의 요청으로 측근 업체에 포스코가 일감을 몰아준 정황이 밝혀졌다. 정 전 회장은 5차례나 소환 조사를 받았고, 지난달 말 이 전 의원은 건강상태 등을 고려해 제3자 뇌물수수죄로 불구속기소됐다.
검찰은 조만간 정 전 회장의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아울러 정동화 전 부회장과 배성로 회장 등 아직 사법처리하지 않은 주요 피의자의 신병처리 방향도 함께 결정한다.
포스코 비리 사건의 관련자들은 이르면 이번 주, 늦어도 이달 중순께 사법처리 향배가 모두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정동화 전 부회장이나 배성로 회장의 영장기각으로 수사가 진척을 보지 못했다는 게 검찰의 해명이지만 8개월간 수사하고도 의혹의 진위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은 검찰도 뼈아픈 대목이다.
법조계 일각에서는 그룹 차원의 비리가 치밀하게 밝혀지기보다는 정 전 회장 등 몇몇 인사에 대한 '단죄', '망신주기' 수사로 변질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법조계의 한 관계자는 "8개월간 밀도 높게 수사를 했지만 그룹 비자금 조성 의혹과는 다른 방향으로 흐른 것 같다"며 "유력 후보를 밀어내고 회장에 오른 사실이 함께 드러난 정 전 회장만 망신을 당하고 사건이 끝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