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지난해 장애인 평균 고용률이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부문 장애인 고용률은 법적 의무 고용률에 미치지 못했지만, 제도 시행 이후 가장 좁은 격차를 보였다.
|
 |
|
▲ 2024년 장애인 의무고용현황 |
고용노동부는 의무 고용 대상인 국가·지방자치단체와 상시근로자 50명 이상 사업체 총 3만2692개소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4년 장애인 의무고용현황'을 28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장애인 고용률은 전체 평균 3.21%로, 전년(2023년) 대비 0.04%p 상승했다. 장애인 고용 인원은 29만8654명으로 전년 대비 7331명 증가했다.
부문별로 보면 7331명 중 민간기업에서의 고용이 6914명으로 가장 컸다. 민간부문 장애인 고용률은 전년 대비 0.04%p 상승한 3.03%로, 코로나19 이후 상승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법적 의무 고용률(3.1%)에는 미치지 못했으나, 1991년 의무고용제도 시행 이후 최저 수준인 0.07%p까지 격차가 좁혀졌다.
이번 조사에서는 1000인 이상 기업의 장애인 고용 개선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지난해 1000인 이상 기업 장애인 고용률은 2.97%로 전년(2.88%) 대비 0.09%p 상승하면서 전체 고용률 상승을 견인했다.
정부와 공공기관을 포함한 공공부문에서는 총 417명 늘었다. 공공부문의 장애인 고용률은 3.9%로, 의무고용률(3.8%)을 상회했다. 지자체 5.92%, 공공기관 4.05%, 중앙행정기관 3.36%, 헌법기관 2.83%, 교육청 2.52% 순으로 지자체와 공공기관 역할이 컸다. 다만 공무원의 장애인 채용은 다소 부진했다. 교원·군무원 등 특정직 공무원의 비중이 큰 기관 고용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 여성 장애인 근로자가 전체 장애인 근로자 중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35.8%, 28.7%로 지속 상승했다.
권진호 통합고용정책국장은 "장애인 고용 컨설팅 제공과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 규제 완화 등을 통해 민간기업의 장애인 고용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며 "정부부문도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해 장애인 채용을 독려하고, 연계고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장애인 고용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