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한국 영화시장을 들썩였던 '국제시장', 개봉한 직후 아산 정주영 명예회장의 향수를 느꼈다. 성공과 철학 그리고 도전정신과 꿈 등 정 명예회장이 남긴 일화는 '신화'로 재생산됐기 때문이다.지난 2008년 당시 현대중공업 광고에서 500원 지폐 속 거북선에 착안해 기지를 발휘, 불가능할 것 같았던 차관을 도입해 조선소 건립에 성공 이후 백사장 사진을 선박수주에 성공했다는 일화는 '존경'의 키워드로 SNS에서 회자되고 있다. 그의 신화같은 일화는 인상 깊은 스토리텔링으로 많은 영향력을 끼쳤고 아산의 기지와 해학, 적극적인 도전정신은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대한민국의 청년들의 현실을 개탄하는 신조어인 '헬조선'이 등장했다. 10만명에 육박하는 청년 실업 속에 도전정신은 희석되고 열정페이에 청년들의 현재가 위축되고 있다. 고용 개혁 속 세대간의 갈등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이때, 정 명예회장의 일화는 다시금 젊은이들의 도전정신과 철학을 재조명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불굴의 개척자 정 명예회장의 어론으로 본 아산 탄생 100주년을 조명해본다. -편집자 주- |
<글 싣는 순서>
①70원으로 뭘하겠어? 정주영 회장이 노할라
②8포 세대들아 들어라 "이봐, 해봤어?"
③"길을 몰라, 그러면 찾아야지"
④"잘 먹고 잘사려고? 좋은 일을 해야지"
⑤불굴의 희망가 "실패는 없다" |
“승리 할 수 있다 생각하고 살아간다면 영원히 승리한 것이다”
[미디어펜=김태우기자]수많은 고난과 역경에도 실패를 모르고 도전을 아끼지 않던 아산 정주영 명예회장의 정신은 한 두 번의 좌절에 무릎을 꿇는 이들에게 경각심을 불어넣고 있다.
아산이 현대를 이끌어온 대부분의 일들이 이에 속한다. 처음 자동차를 만들 때도 황무지에 가까운 울산 모래사장에 조선소를 지을 때도 해외 건설시장을 개척할 때 도 늘 붙어 다니던 꼬리표 같은 말이 불가능 이었다.
하지만 이런 모든 일을 될 때까지 도전해 성공으로 연결시켰고 지금의 현대의 초석을 다진 것이 아산 정주영 명예회장이었다.
지금은 세계인의 일상과 함께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자동차로 후발주자에서 세계 5위의 자동차 강국으로의 도약하기까지의 아산은 많은 실패 이겨냈다. 이런 아산은 자동차 산업 수출 1위, 무역흑자 1위, 제조업최대일자리 창출, 현대·기아자동차 글로벌 톱5까지 다양하고 놀라운 수식어를 남기는 기염을 뿜었다.
|
 |
|
▲ 아시아 2번째, 세계적으로 16번째로 독자 자동차 모델 생산국에 이름을 올린 포니 개발성공이후 1985년 첫 전륜구동 자동차인 포니엑셀의 신차발표회장에 참석한 아산 정주영 명예회장/아산정주영닷컴 |
무에서 유를 창조한 신화의 출발이자 미래에 대한 그 만의 해안이었다.
아산 정주영 명예회장은 사업을 시작하며 “자동차는 달리는 국기다. 만약 내가 성공하지 못한다 해도 내 후대들에게 자동차 산업발전을 위한 디딤돌을 놓을 것이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이런 아산 정주영 명예회장의 포부는 가난이 싫어 고향을 뛰쳐나와 자신의 사업을 시작한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때는 1940년 국내에 차량이 많지 않았던 때였다. 하지만 아산은 자동차 종합 수리소인 아도서비스로 자동차산업 진출에 대한 꿈을 실현하기 위해 첫 발을 내딛었다.
이후 1946년 아산은 현재의 현대자동차그룹의 초석을 다진 현대자동차공업사를 설립했고 이곳은 지금의 현대를 있게 한 근본이자 아산이 필생의 사업으로 생각한 자동차산업의 대한민국 기초를 다지게 했다.
그는 “한국경제 선진화를 위해 자동차 산업의 성공은 필수 였다”고 말한다.
자동차산업의 후발국으로 1960년대까지 기술 황무지나 다름없었던 한국에서 현재의 위상에 이르기까지 신화의 서막을 연 아산은 “꿈이 있으면 멈추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남겼다.
후발주자로 시작된 자동차산업 진출에서 수많은 선진업체들의 견제와 회유가 있었다. 합작사를 통해 기술발전을 도모한 아산의 의지와 달리 글로벌 시장 독점을 위해 한국을 하청제조업체로 여긴 경우도 있었다.
이런 선진기업들의 횡포에 아산은 기술자립과 독자생산을 결단했다. 당시의 한국은 대만보다도 못한 기술력이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무모한 도전이었다.
아산은 당시직원들에게 실패해도 좋으니 마음 것 해보기를 주문했고 독려했다. 이후 우리손 우리기술로 만든 독자모델 개발까지 추진했고 이런 노력 끝에 1974년 독자모델 포니의 개발에 성공 했다.
변변한 기술조차 없던 대한민국이 아시아에서 2번째였고 세계적으로 16번째 고유모델을 보유한 자동차 생산국에 이름을 올린 것이다. 이후 1985년 최초의 전륜구동 포니엑셀을 출시 한 뒤 최대자동차 시장 미국진출까지 성공시켰다.
아산의 노력은 여기서 끝나지 않고 1991년 엔진의 국산화에 성공했고 연이어 다양한 엔진을 개발해 냈으며 1998년 어깨를 나란히 하던 기아자동차를 인수하며 또 다른 한국자동차 산업 신화 막을 열었다.
이런 아산의 행보는 자동차뿐만이 아니었다. 황무지 울산의 백사장에 조선소를 건설 할 때도 그의 저력은 유감없이 발휘됐다.
1972년 조선업은 위험이 큰 업종이지만 많은 사람들에게 직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연관된 산업을 일으킬 수 있는 종합 기계 공업이라 생각한 아산 정주영 명예회장. 또한 우리나라로서는 조선소 건설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 그였다.
|
 |
|
▲ 황무지에 가까운 전기도 들어오지 않던 울산의 백사장에 조선소를 건립하기 위한 자금조달을 위해 아산이 영국으로 들고 떠난 (위)500원 짜리 지폐와 (아래)울산 조선소 부지사진/아산정주영닷컴 |
하지만 초기 자본이 없던 아산은 1971년 9월 현대 조선소(현 현대중공업) 건설 자금 유치를 위해 500원짜리 지폐와 울산 조선소 부지인 백사장 사진을 들고 영국으로 건너갔다.
그곳에서 아산은 바클레이즈 은행 롱바톰 회장에게 500원짜리 지폐에 새겨진 거북선을 보여주며 “우리의 거북선은 영국의 조선 역사보다 300년이나 앞서 있었소 우리의 잠재력은 녹슬지 않았단 말이오”라고 말하고 자신했다.
이름조차 모르는 아시아의 조금한 나라 기업인의 당찬 패기와 열정은 그들을 설득하는데 큰 역할을 했고 경국 지원을 받아내며 현재의 세계 1위 조선소인 현대중공업 기틀을 마련했다. 아산의 패기와 도전정신이 빛을 발한 유명한 일화다.
해외 건설시장 개척 할때도 그랬다. 1976년 20세기 최대의 건설역사인 사우디아라비아 주베일 산업항 공사에서의 일이다.
이미 몇 년을 준비해온 선진국의 대형업체들이 입찰에 참여한다는 것을 알고 있는 상황. 그래도 정주영 명예회장은 입찰을 결심했다. 모두가 무모하다는 우려했다. 계란으로 바위를 치는 격이었다.
아산은 달랐다. 건설업의 성공은 모험적인 정보와 노력, 용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우리도 충분히 해 낼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렇게 결정된 극적인 주베일 산업항 공사업체 입찰은 현대건설에 최종 낙찰됐다. 수주액만 해도 당시 대한민국의 1년치 예산의 절반수준의 엄청난 프로젝트였다. 최종낙찰이 된 시점부터 진정한 도전이 시작됐다.
경쟁사들의 방해공작 또한 만만치 않았고 주변의 이의제기에 현대건설에 대한 사우디아라비아의 믿음은 바닥으로 떨어져갔다. 이에 굴복할 아산이 아니었다. 공사기간을 8개월 단축도 가능하다는 자신감으로 사우디아라비아의 의심을 불식시켰다.
이후 단행된 아산의 행보는 모두를 경악케 할만 했고 건설역사의 한 획을 그었다.
당시는 최악의 외환 사정으로 고통을 겪고 있던 상황을 감안해 단행된 도전 주베일 산업항 공사는 외화를 벌어들일 좋은 기회였다. 이에 아산은 모든 자재를 한국에서 조달해 국가 경제에 보탬이 되고자 했다.
이런 그의 신념은 울산항에서 공사현장까지 1만2000Km를 뱃길을 뚫고 35일간의 대항해를 19회 왕복항해로 이어졌다. 일반 배로 운항하는 것도 힘든구간을 10층규모의 구조물을 바지선에 싣고 운반하는 전무후무한 도전이었다.
|
 |
|
▲ 대한민국 건국이후 최대의 외화를 벌어들인 사우디아라비아 주베일 산업항 공사현장을 방문한 (사진왼쪽)아산 정주영 명예회장/아산정주영닷컴 |
여러차례 사고도 있었다. 선박과의 충돌사고를 비롯해 세계 최대 태풍권 한가운데인 곳을 지나며 바지선이 떠내려간 적도 있었다. 이런 역경 속에도 정주영 명예회장은 포기하지 않고 계획을 시행해나갔다. 그 누구도 성공하리라 믿지 못할 하늘과 맞선 도전이었다. 무모해서 더욱 위대한 도전이었고 결과는 놀라웠다.
결국 모두의 예상을 뛰어넘어 성공해낸 것이다. 또 이것은 대한민국 건국 이후 최대의 외화 획득에 성공한 일이었다. 놀라운 도전이 낳은 값진 성공이었다.
모두가 불가능을 외칠 때 포기하지 않고 성공으로 연결시킨 아산 정주영 명예회장은 도전을 꿈꾸는 이들에게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해내는 법이다. 의심하면 의심하는 만큼밖에 못하고, 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 할 수 없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