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성준 기자]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계속 늘어나면서 부동산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
 |
|
▲ 부산의 아파트 모습./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1일 업계에 따르면 전국 준공 후 미분양은 지방 부동산 시장을 중심으로 더욱 확산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3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 3월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5117가구였다. 이는 지난 2월(2만3722가구)보다 5.9%(1395가구) 늘어난 수치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부동산 침체를 반영하듯 지난 2023년 8월 이후 20개월 연속 증가 중이다. 3월 준공 후 미분양은 2013년 8월(2만6453가구) 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준공 후 미분양 증가는 지방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반면 수도권은 그 오름세가 미미해 지방과 차이를 보였다.
수도권은 4574가구로 2월보다 0.7% 증가했으며, 지방은 2월에 비해 7.1% 급증한 2만543가구를 기록했다. 지방 중에선 대구(3252가구)와 경남(3026가구), 경북(2715가구), 부산(2438가구) 등에 준공 후 미분양이 많았다. 전북은 한 달 새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28.4% 급증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전체 미분양 물량은 소폭 감소했다. 지난달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8920가구로, 2월(7만61가구)보다 1.6% 감소했다. 수도권에서 미분양이 한 달 새 6.1% 줄어든 1만6528가구로 집계됐고, 지방은 69가구 감소한 5만2392가구로 나타났다.
준공 후 미분양 해결 방법도 요원하다. 정부가 LH(한국토지주택공사)를 통해 지방 미분양 물량을 해소하기 위해 3000가구 규모 매입 계획과 기업구조조정(CR)리츠 도입 등을 예고했지만 미분양 분위기를 바꾸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방 악성 미분양 물량이 해소되지 않으면 지방에 기반을 둔 건설사 위주로 자금 조달에 차질을 빚어 부실화를 피할 수 없게 된다"며 "부동산 침체와 맞물려 미분양 상황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당국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조성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