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홍샛별 기자]1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형 땅꺼짐(싱크홀) 사고 이후 지반침하 의심 신고가 평상시의 2배 이상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형 땅꺼짐(싱크홀) 사고 현장. /사진=연합뉴스


6일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실이 서울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명일동 싱크홀 사고가 발생한 다음 날인 3월 25일부터 4월 22일까지 약 한 달 동안 시에 접수된 싱크홀·포트홀·지반침하 관련 신고는 1450건에 달했다. 하루 평균 50건의 의심 신고가 접수된 셈이다.

올해 1월 1일부터 사고 당일인 3월 24일까지 83일 동안 접수된 신고는 1857건으로 하루 평균 22.4건꼴이다.

대형 싱크홀 사고로 인명 피해까지 발생하자 단순 포트홀(도로 파임) 등도 지반침하로 오인하는 등 시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서울시가 지반침하 안전지도(우선정비구역도)를 공개하지 않은 점도 시민 불안을 키운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시는 지난해 땅 꺼짐 위험도를 5단계로 평가한 안전 지도를 만들었지만, 불필요한 오해와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다며 이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다만 시민 불안을 줄이기 위해 지표투과레이더(GPR) 등 탐사 결과를 '서울안전누리'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지반침하에 대한 시민 신고 내용과 점검 결과를 안내 중이다.

박용갑 의원은 "서울시 지반침하 위험지도 비공개 결정으로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면서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한 지반침하 위험지도 조사 결과 등을 정부와 국회에 공개하도록 지하안전관리법을 개정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