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류준현 기자] 고용노동부는 여름철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산업현장의 밀폐공간 질식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오는 8월까지 집중 점검을 실시한다고 18일 밝혔다.
|
 |
|
▲ 고용노동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2015∼2024년 10년간 산업현장에서 발생한 밀폐공간 질식 사고로 298명이 산업 재해를 입었는데, 이 중 약 42.3%(126명)가 사망했다.
밀폐공간 질식 재해는 산소결핍, 유해가스 중독 등에 따른 것으로, 이 기간 재해자의 42%가 사망할 정도로 치명적이다. 특히 사망자 126명 중 31.7%(40명)는 여름철인 6∼8월에 목숨을 잃었다. 기온상승 시 유해가스가 더 많이 발생해 맨홀, 오폐수처리시설, 축사 등에서 질식사고 위험성이 커지는 까닭이다.
이에 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오는 8월까지 밀폐공간 질식 재해가 우려되는 고위험 사업장 200곳을 집중점검할 예정이다. 노동부는 3대 안전 수칙인 △밀폐공간 사전파악 △산소·유해가스 농도 측정 및 환기 △호흡보호구 착용 준수 여부 등을 점검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밀폐공간 안전작업절차 수립과 운영 실태 △질식사고 발생 시 긴급 구조체계와 훈련 여부 △작업자에 대한 밀폐공간 위험성과 작업 방법 교육 등도 함께 살펴볼 예정이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