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상반기까지 사전타당성 연구 추진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해양수산부는 호주 인프라·교통·지역발전·통신·체육·문화부와 협력해 한-호주 녹색해운항로 구축을 위한 사전타당성 연구를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 해양수산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녹색해운항로는 저·무탄소 연료, 친환경 기술을 활용해 2개 이상의 항만과 항만 사이 물류 운송 전(全) 과정에서 탄소배출이 없는 운항을 지향하는 항로를 말한다. 

우리나라와 호주는 사전타당성 연구를 통해 양국 간 △친환경 연료 공급망 분석 △항만별 수출·입 화물 및 수요 동향 조사 △연료공급을 위한 항만 인프라 체계 연구 △운항에 적합한 선박의 종류 평가 등 녹색해운항로 선정을 위한 핵심 과제에 대해 면밀하게 검토할 계획이다.

이번에 착수하는 사전타당성 연구는 지난 2월 한-호주 녹색해운항로 구축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 이후 첫 단계로 추진되는 절차다. 그간 양국이 협업해 사전타당성 연구에 필요한 계획을 수립했으며, 참여를 희망하는 민간기업과 연구기관 등이 확정됨에 따라 내년 상반기까지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민간기업은 HMM, 현대글로비스, 팬오션, 에이치라인해운, 포스코플로우, 지마린서비스 등이며, 연구기관은 한국선급,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부산항만공사, 울산항만공사,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참여한다. 

이후 사전타당성 연구 결과에 따라 선정된 항로를 대상으로 경제·기술·제도 등 타당성 연구를 통해 녹색해운항로 구축 로드맵을 수립해 친환경 선박 운항을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호주는 우리나라에 선박 연료를 비롯한 청정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국가인 만큼, 이번 사전타당성 연구를 통해 최적의 항로를 선정해 2029년부터 우리나라와 호주를 연결하는 녹색해운항로의 운항을 시작할 수 있도록 호주 정부와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