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청수석에 전성환…산자 김정관·교육 이진숙·보건 정은경
국정원 1·2차장에 이동수·김호홍…국정원 기조실장 김희수
지방시대위원장 김경수·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 오유경 유임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이재명 대통령은 29일 법무부 장관과 행정안전부 장관에 정성호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각각 지명하고, 대통령실 민정수석에 봉욱 전 대검찰청 차장검사를 임명하는 인사를 단행했다.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열어 이 대통령이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에 구윤철 전 국무조정실장,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이진숙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법무부 장관 후보자에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에 윤호중 민주당 국회의원,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에 김정관 두산에너빌리티 사장,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에 정은경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임상교수를 지명했다고 밝혔다.

또 이 대통령은 국가정보원 1·2차장에 이동수 전 국정원 해외정보국 단장과 김호홍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신안보연구센터장, 국정원 기획조정실장엔 김희수 전 서울지검 북부지청 검사를 임명했다.

이와 함께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인사도 단행됐다. 경청통합수석에 전성환 세종특별자치시 교육청 비서실장, 민정수석에 봉욱 전 대검찰청 차장검사가 임명됐다. 

   
▲ 대통령실은 29일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의 브리핑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의 장관급 추가 인선을 발표했다. 사진 왼쪽 위부터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 사진 왼쪽 아래부터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2025.6.29./사진=연합뉴스 [대통령실 제공]

이 밖에 이 대통령은 대통령 소속 지방시대위원장에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를 위촉했으며, 약품안전처장에 오유경 현 처장을 유임을 결정했다.

정성호·윤호중 후보자는 모두 더불어민주당 5선 의원으로 당내 친이재명계 좌장으로 불린다.

구윤철 후보자는 1965년 경북 성주 출생으로 대구 영신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행정고시 32회 출신으로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장·2차관 등을 지냈으며, 서울대 경제학부 특임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이진숙 후보자는 1960년 대전광역시 출생으로 대전여고와 충남대 건축공학교유고가를 졸업하고 일본 동경공업대 건축환경계획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통령 직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 충남대학교 총장을 지낸 바 있다. 

김정관 후보자는 1968년 전남 장성 출생으로 광주제일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Univ.of Missouri, Columbia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행정고시 36회 출신으로 한국은행 국제경제부장과 기재부 정책기획관 등을 지냈다. 

정은경 후보자는 1965년 광주 서구 출생으로 전남여고와 서울대 의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예방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장 등을 지냈다.  

   
▲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가운데)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수석비서관 추가 인선을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 전성환 경청통합수석비서관, 강 비서실장, 봉욱 민정수석비서관. 2025.6.29./사진=연합뉴스

국정원의 이동수(58세) 1차장은 국정원 해외정보국 단장 출신이며, 김호홍(62세) 2차장은 국정원 대북전략단장 출신이다.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은 ‘친문재인 계 핵심 인사’다. 강훈식 비서실장은 “김경수 위원장 평소 균형발전과 지방자치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며 “도지사와 국회의원 경험을 토대로 ‘5극 3특’ 추진 등 대통령의 균형발전전략과 자치분권 공약을 빠르게 현실화시킬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또 강 비서실장은 오유경 처장의 유임과 관련해 “오 처장은 산업계와 학계, 관가를 두루 거친 전문가이며 해당 분야에서 보여왔던 역량을 고려했다. 무엇보다도 유능함을 고려하겠다는 대통령의 뜻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강 비서실장은 “이재명 대통령은 오늘 인사와 관련해 신속성을 강조했다”며 “심상치 않은 경제 상황을 극복하고 대한민국 시스템의 회복을 위해서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움직여야 할 때임을 강조하면서, 신속한 현안 파악과 해법 마련을 준비할 것을 당부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