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배소현 기자] SK텔레콤(SKT)은 AI 서비스 '에이닷(A.)'에 '노트'와 '브리핑' 등 신규 서비스의 베타 버전을 출시했다. 기존 서비스에서 문맥 파악 기능을 추가해 사용자의 일상에서 AI 이용 경험을 극대화 시킨다는 방침이다.
|
 |
|
▲ SKT가 30일 AI 서비스 ‘에이닷’에 회의나 강의 등의 상황에서 음성을 자동으로 적고, 요약하고 정리하는 ‘노트’ 서비스와 사용자의 일상을 종합 분석해 자연스럽게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브리핑’ 서비스 등 2종의 AI 서비스를 베타 버전으로 출시했다./사진=SKT 제공 |
30일 SKT에 따르면 에이닷 '노트'는 회의나 강의, 상담 등 일상에서 음성으로 이뤄지는 모든 순간을 AI로 기록하는 서비스다.
특히 단순히 음성을 인식해 받아쓰는 것이 아닌 문맥을 읽어낸다는 점에서 기존 서비스와는 다른 차별점이 있다.
또 이해되지 않는 개념이나 낯선 용어가 나올 경우 별도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도 AI를 통한 웹검색으로 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
아울러 녹음 종료 후 △요점 정리 △회의록 △강의 노트 가운데 원하는 템플릿을 선택하면 해당 형식에 맞춰 중요 키워드와 주제어를 중심으로 내용을 묶어 정리해 준다.
'노트'를 통해서는 공유도 더 편리해진다.
'노트'에서 공유 기능을 키면 링크 주소가 생성돼 이를 공유 대상에게 전달하면 된다. 공유 시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언제든 수정도 가능하다. 공유 기능을 끄면 곧바로 링크는 비활성화되며 외부에서 노트 내용 열람이 불가하다.
오픈 베타 형태로 제공되는 '노트'는 1회 녹음 당 최대 100분, 월 600분 분량이 제공된다.
SKT는 "에이닷 '노트' 서비스를 에이닷 앱과 PC 웹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이용자 활용 편의를 최대한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에이닷 '브리핑'은 사용자의 일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자연스럽게 정보를 제공하는 '엠비언트(Ambient) 에이전트’ 서비스로, ‘AI 개인 비서’라는 에이닷의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개발됐다.
'브리핑'은 원하는 고객에 한해 직접적인 요청이 없이도 상황과 맥락을 고려한 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SKT는 "'브리핑' 서비스는 에이닷 이용자 중 선착순 2만 명을 대상으로 제공된다"며 "해당 서비스의 특성상 한 번의 브리핑이 아닌 이전 브리핑 이력과 사용자의 반응 및 피드백을 기억해 더 정밀하고 개인화된 '나만의 AI' 서비스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SKT는 하반기 중 에이닷 '노트'와 '브리핑' 서비스의 베타 테스트를 진행해 사용자의 반응과 사용 의견 등을 확인해 이르면 올해 내 정식 버전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김용훈 SKT 에이닷 사업부장은 "앞으로도 음성 기술과 고객 생활 패턴 기반으로 일상에서 혁신적 사용자 경험을 AI 기반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미디어펜=배소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