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기간 ‘폭싹 속았수다’ 몰아보기…대한민국 문화 산업성 확인했다”
박천휴 뮤지컬 작가·조수미 성악가·김원석 감독 등 문화예술인 초청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이재명 대통령은 30일 “문화예술인들에 대한 기본소득 도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파인그라스에 문화예술계 인사들을 초청한 자리에서 “문화가 우리사회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투자 역할을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했다.

또한 이 대통령은 “문화가 워낙 다종다양해 문화정책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도, 문화체육부 장관 후보자를 찾는 것도 어렵다”면서 “탁상공론이 아닌 수요자가 원하는 정책을 가감없이 발굴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이날 ‘문화 강국의 꿈, 세계로 나아가는 대한민국’이란 제목으로 열린 행사엔 K컬처의 주역으로 꼽히는 토니상 6관왕을 석권한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의 박천휴 작가,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 ‘코망되르’를 수훈한 조수미 성악가, 넷플릭스 글로벌 탑10 시리즈(비영어) 부문 1위를 차지한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김원석 감독 등 문화예술인이 초청됐다.

제78회 칸국제영화제 학생 부문(라 시네프) 1등상을 수상한 허가영 감독, 한국 남자 무용수 최초 ‘로잔발레 콩쿠르’에서 우승한 박윤재 발레리노도 함께했다.

강 대변인은 이날 행사가 마련된 것과 관련해 “이 대통령이 지난 대선기간 ‘폭싹 속았수다’를 보고 대한민국의 문화 잠재력에 놀랐고, 문화산업으로 일자리를 만들고 국력을 키울 방안을 고민한 것이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강 대변인의 이 같은 설명에 김원석 감독의 발언이 이어졌고, 김혜경 여사의 발언에 이어 발언 순서를 이어받은 이 대통령은 폭싹 속았수다 드라마를 주말에 몰아보기를 했다고 전하면서, 드라마 연출과 연기의 섬세한 표현력에서 우리문화의 역량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파인그라스에서 문화예술계 수상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6.30./사진=연합뉴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이 대통령은 “요즘 어떻게 하면 먹고 살길을 만들까 이런 데에 주로 관심이 있는데, 폭싹 속았수다를 보면서 산업으로 키울 수 있는 대한민국 문화의 잠재력을 확신했다”면서 “제주도의, 지금도 아닌 과거의 어려운 시절, 대한민국의 급속성장에 따른 급변 속에서 고부갈등, 남존여비의 가부장적 문화에 대해 우리는 공감하지만 세계인들이 공감할 수 있을까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이게 엄청난 공감을 받았다는 것을 봤을 때 대한민국의 문화적 역량이 K팝에만 있는게 아니고 새로운 영역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드라마를 보고 대한민국 문화를 대대적으로 키워서 우리국민들의 일자리도 만들고, 세계적으로 대한민국의 소프트파워의 영향력을 키울 수 있겠다는 생각이 정말 강력하게 들었다”고 더붙였다.

또 김구 선생의 ‘정말 강한 문화의 힘을 가진 나라가 되는게 내 소망’이라는 발언을 언급하며, “김구 선생은 ‘우리가 국가의 무력을 키워야 하지만 우리를 지킬 정도면 충분하고, 경제력도 우리가 잘 먹고 잘 사는 정도면 된다. 그러나 문화는 온 세상에 좋은 일만 하는 거니까, 좋은 선한 영향력만 미친다’고 말하셨다”면서 “김구 선생이 말씀하신 문화 강국으로 우리가 들어가는 초입에 서 있는 것 같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국가정책적으로 문화 부분에 대한 투자나 지원도 대대적으로 늘리고, 자라나는 세대들한테 기회도 주고, 이걸 산업으로도 키우고, 전 세계로 진출해서 대한민국의 문화적 영향력을 키우면 우리가 세계적인 강국으로, 선도국가로 갈 수 있지 않겠나, 가장 강력한 힘이 되지 않겠나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래서 지금 문화부 장관을 못 뽑고 있다. 너무 복잡하게 고민하다 보니까, 이걸 다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되는데, 오늘 여러분도 그 고민도 좀 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해 좌중에서 웃음이 터져나왔다.

간담회에서 김원석 감독은 “가장 균형 잡힌 것은 아무 말도 안 했는데 균형 잡힌 것이 아니라 뭔가를 아주 철저하게 이야기할 때 균형 잡힌 시선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휴머니즘 하나로, 요즘 특히 어르신분들이 전반적으로 대화가 많이 부족하지만, 연령별로 혹은 남녀 간에 서로 소통의 기회가 줄어들고 있는데, 이걸 통해서 이야기의 물꼬가 텄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 밖에 발레리노 박윤재 씨는 “외국 무용수들은 16살 때부터 메이저 발레단에 들어가서 꿈을 펼치는데 한국 무용수 경우 군복무 문제로 빨리 나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박천휴 작가는 “우리나라 소프트파워가 강해졌고, 경제적으로도 부유해졌기 때문에 해외 전문가들과 교류가 필요하다. 현지 사람들을 초청해서 함께 개발하고, 현지와 자매결연을 맺는 정책이 장기적으로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