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가교보험사 설립을 통한 청산 절차를 밟고 있던 MG손해보험이 다시 매각을 시도할 수 있게 됐다. 다만 MG손보는 재무건전성이 심각하게 악화된 상태로 2022년 부실 금융기관으로 선정된 후 여러 차례 인수자 찾기에 실패해온 바 있어 재매각 성사 여부에 의문부호가 붙는다.
5개 대형 손해보험사(삼성화재·현대해상·DB손해보험·KB손해보험·메리츠화재)로 계약이전을 기대했던 MG손보 가입자들의 불안이 다시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일 금융당국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과 예금보험공사, MG손보 노조 측은 MG손보 재매각을 추진하는 안에 잠정 합의했다. 예보와 MG손보 노조는 해당 합의안에 따라 이날 합의서에 서명할 예정이다.
|
 |
|
▲ 사진=MG손해보험 |
금융당국은 지난달 14일 MG손보의 신규 영업을 정지하고, 계약자 보호를 위해 2~3분기 안에 가교보험사를 설립해 MG손보의 계약을 1차 이전하고, 내년말까지 5개 주요 손보사로 최종 이전하는 내용의 MG손보 정리방안을 발표했다.
MG손보가 보유한 계약은 지난 3월 말 기준 151만건으로, 이 중 약 90%는 질병·상해보험 등 장기보험이다. 계약자는 개인 121만명, 법인 1만개다.
그러나 노조 측은 이 과정에서 약 10% 내외의 필수인력만 가교보험사에 재고용되고 나머지 임직원과 전속설계사 대부분이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며 가교보험사 설립을 취소하고 정상 매각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MG손보 노동조합은 그동안 가교보험사 설립에 반대하며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단식농성을 벌여왔다. 전날에는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총회를 열고 전 직원 단식 농성 돌입 투쟁대회를 열기도 했다.
금융당국과 MG손보 노조 측은 가교보험사를 설립하되 재매각을 우선 추진한 뒤 실패하면 기존 방안대로 5개 회사에 계약을 이전하는 잠정안을 도출했다. 임직원 고용 승계와 근로 조건 등에 대해서는 별도의 협의를 다시 거치기로 했다.
양측의 잠정 합의에는 새 정부 출범 이후 더불어민주당의 중재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합의안은 민병덕 민주당 의원(을지로위원회 위원장)의 중재로 마련됐다.
MG손보 노조는 합의안을 조합원 281명 동의를 얻어 승인하고, 그동안 이어온 단식 농성을 중단했다.
금융당국은 앞서 MG손보 정리방안 발표에서 세 차례의 공개매각이 실패로 끝난 데다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이유로 재매각을 선택지에서 배제했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는 MG손보의 경영정상화를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을 투입해야 하는 만큼 재매각 시도에서도 새 주인을 찾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1분기 기준 MG손보의 경과조치 적용 후 지급여력비율(킥스)은 –18.2%를 기록했다. 현재 보험업법에서는 킥스 비율이 100%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금융당국은 150% 이상 유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를 고려했을 때 MG손보의 경영정상화를 위해서는 1조원 가량의 자금 투입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금융당국에서 한 달 반 만에 입장을 뒤집어 재매각을 추진하기로 하면서 가입자들만 중간에서 혼란을 겪게 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김동진 MG손해보험 노조 지부장은 “서로 한발씩 물러나 노조는 가교보험사 설립을 반대하지 않기로 했고, 금융당국은 재매각을 시도해보겠다고 했다”며 “가교보험사로 가기 위한 조건으로 고용 승계율과 근로조건을 먼저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가입자의 경우 5개 손보사로 이전되든 재매각이 되든 보험계약은 유지되는 거기 때문에 우려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