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부산항만공사(BPA)는 자성대부두 일부 선석을 부산항에 입출항하는 외항 컨테이너선의 긴급 정비(간단수리 동반)나 응급환자 이송 등을 위한 비상용 공용선석으로 한시적 운영하기로 했다고 2일 밝혔다.
|
 |
|
▲ 자성대 부두 전경./사진=부산항만공사 |
자성대부두는 북항재개발 2단계 사업 대상지로 지난해 말 컨테이너터미널 기능을 종료하고 현재 육상부의 유휴 시설을 신항 개장부두(2-6단계) 하역장비 제작장, 컨테이너 장치장 등으로 임시 활용하고 있다.
당초 선박이 접안하는 선석부는 보안구역이 해제되면 외항 컨테이너선의 이용이 중지될 계획이었으나 국내외 선사 및 해운협회, 수리조선업계 등으로부터 접안시설 부족에 따른 유휴 선석 활용 요청이 이어졌다. 이에 BPA는 부산항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자성대부두 선석 운영방안을 재검토했다. 부산항 기항 선사들을 대상으로 선석 이용 수요조사를 실시한 결과 약 92%의 선사가 선석 사용 의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외항선이 접안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터미널과 같이 보안구역을 유지해야 하며, BPA는 이를 위해 연간 약 14억원의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하지만 선사에 대한 편의제공과 항만연관산업 활성화 측면에서 보안기관 및 CIQ 재협의를 바탕으로 수익성보다는 공공성과 실용성을 우선하기로 하여 북항재개발 착공 전까지 한시적 운영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CIQ는 사람이나 화물의 입출국에 필요한 항만이나 공항 등에서 이루어지는 통관, 입국심사, 검역절차를 말하는 것으로. 세관(Customs), 출입국 관리(Immigration), 동식물 검역(Quarantine)의 약자다.
자성대부두 선석을 이용할 수 있는 대상은 부산항에 입항하는 컨테이너선으로서 운항 중 긴급 선내 정비(간단수리 동반), 선박검사, 선원응급환자 이송, 정부 조사 등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한하며, 이용시간은 최대 48시간(긴급시 24시간 연장 가능)이다.
이는 접안 조건이 다소 까다로운 것은 인근 지역 주민들의 생활에 불편을 끼치지 않도록 꼭 필요한 선박만 이용하게 하기 위해서다.
부산항만공사 송상근 사장은 “선사들의 요청을 적극 수용하여 자성대부두 선석을 컨테이너선을 위한 공용선석으로 운영하기로 했다”며 “이를 통해 부산항 이용의 편의성 제고뿐만 아니라, 북항 내 부두 및 정박지의 혼잡도 개선과 항만연관산업체의 매출 증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에 대해 한국해운협회 부산사무소 김세현 소장과 한국국제해운대리점협회 이태수 지회장은 “부산항의 서비스 향상을 위해 공기업으로서 책임감 있고 과감한 정책을 추진해주신 BPA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이같은 결정이 장기적으로는 부산항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