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최근 미국의 관세 정책과 중동 지역 전쟁 등 대내외적으로 불확실성 확대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고용 불안 대응을 위해 매월 지역 고용 상황을 점검하기로 했다.

   
▲ 고용노동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고용노동부는 2일 고용정책실장 주재로 전국 주요 지방관서장이 참여하는 '제1차 지역 고용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최근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 중동지역의 정세 불안과 내수 부진 등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지역 내 주력산업 침체 등 고용 불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을 고려해 마련됐다.

고용부는 이날 회의에서 지역 고용 둔화 상황을 적시에 파악해 필요한 지원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매월 지역 고용 상황 점검 회의를 열고, 지역·산업별 고용 동향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결정했다.

이날 1차 회의에서는 지역 고용 상황 점검 회의 운영 계획을 논의한 후 지역별 상반기 고용 추세와 지역 내 주요 산업의 고용 동향 및 전망 관련 상황을 공유하고, 지방관서별 대응 현황도 함께 점검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고용률은 61.8%로, 30대와 60세 이상, 40대 고용률이 올라 지난해 같은 분기 대비 0.2%p 상승했다. 충남(1.9%p)과 강원(1.3%p), 충북(1.2%p) 등 고용률은 상승했고, 광주(-1.2%p)와 서울(-1.1%p), 전북(-0.8%p) 등 고용률은 하락했다. 같은 시기 전국 실업률은 3.4%로, 15∼29세와 60세 이상의 실업률이 올라 총 0.1%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물가는 개인 서비스와 외식 등이 올라 지난해 같은 분기 대비 2.1% 상승했다. 

이정한 고용정책실장은 "고용 위기는 지역에서 가장 먼저 나타나기에 지방 관서별로 지역 고용상황을 꼼꼼히 살펴봐 달라"며 "앞으로 지역 고용 상황 점검 회의를 통해 지역별 고용 현안을 면밀히 검토하고, 필요한 지원이 적기에 신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