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 '대출금리 전격 인하' 국민 '포용금융부 신설' 등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시중은행들이 중·저신용자 등 취약계층 및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한 포용금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두 자릿수에 달하던 대출금리를 한 자릿수로 대폭 감면해 이자부담을 덜어주는 한편, 은행 내부 부서에 포용금융부를 신설하는 내용이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그룹은 이달 중 신한은행 가계대출 보유 고객의 금융부담 완화를 위해 금리를 파격적으로 인하해주는 '헬프업 & 밸류업(Help-up & Value-up) 프로젝트'를 시행하기로 했다. 

   
▲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시중은행들이 중·저신용자 등 취약계층 및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한 포용금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두 자릿수에 달하던 대출금리를 한 자릿수로 대폭 감면해 이자부담을 덜어주는 한편, 은행 내부 부서에 포용금융부를 신설하는 내용이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우선 가계대출 금리가 10% 이상인 고객을 대상으로 대출금리를 최대 1년 간 한 자릿수로 인하해주기로 했다. 고객들의 별도 방문·신청 없이 일괄 적용된다. 해당 프로그램으로 약 4만 2000명(대출액 약 6500억원)의 고객이 이자부담을 덜 것으로 추산된다. 이와 함께 신한은행은 새희망홀씨대출 등 서민 신용대출을 연중 신규로 이용하는 고객에게 금리를 조건 없이 1%포인트(p) 인하해주기로 했다. 약 3만 3000명의 고객(대출액 약 3000억원)이 수혜를 누릴 전망이다. 신한은행은 이 같은 금리감면으로 고객들의 이자부담이 약 100억~200억원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외에도 신한은행은 정부와 금융당국이 새출발기금 및 배드뱅크를 활용해 추진하는 채무 감면, 장기연체채권 매입·소각 등 금융 취약계층 대상 정책에도 적극 동참한다는 입장이다.
 
KB국민은행도 전날 포용금융 추진 강화의 일환으로 '포용금융부'를 새로이 신설하는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포용금융부는 사회공헌사업 및 포용금융을 전담하는 부서로, △소외계층을 위한 맞춤형 상품·서비스 개발 △금융취약계층 보호 강화 △지역경제 활성화 등 전반적인 사회적 책임 이행을 맡게 된다. 이와 함께 은행 및 그룹 차원의 포용금융 및 ESG 추진 체계를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기존 'ESG상생금융부'는 'ESG사업부'로 명칭을 변경하고, ESG 전략 수립 및 관리 기능을 중점 추진할 예정이다.

앞서 KB국민은행은 소상공인 대상 상품도 개편·출시한 바 있다. 기존 'KB소상공인 신용대출' 비대면 상품 한도는 최대 2억원까지 늘렸고, 개인사업자의 여유자금을 관리하는 목적의 'KB사장님 파킹통장'도 새롭게 출시했다.

타 시중은행도 소상공인을 타깃한 금융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하나은행은 최대 2%의 우대금리가 적용되는 '행복플러스 소호대출' 등 특판대출의 한도를 1조 3000억원 증액했다. 또 중동발 리스크가 확대되자, 하나은행은 중소기업·소상공인의 긴급 유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총 11조 3000억원 규모의 지원책을 선제적으로 내놓기도 했다. 아울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과 '사업장 환경개선 지원사업'도 시행하기로 했다.

NH농협은행은 전국상인연합회와의 협약에 따라 전통시장 상인의 외환거래 비용을 줄여주는 환율 우대 서비스를 도입했다. 주요 통화의 환율 수수료 우대율을 최대 70% 적용해주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와 함께 농협은행은 올해 신용보증재단과 1조 9000억원,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과 2조 6000억원 규모로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하는 협약을 맺기도 했다.

우리은행은 소상공인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한국신용데이터의 '캐시노트' 플랫폼 대출비교 서비스에 소상공인 사업자 대출 상품을 입점시키기도 했다. 또 우리은행은 저소득·저신용자를 위한 대환전용 상품인 '우리 상생 올케어대출(새희망홀씨2)'을 확대했다. 

이처럼 은행들이 소상공인 및 중·저신용자 등 금융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포용금융을 확대하는 건 이재명 정부의 정책기조에 발맞추기 위한 행보로 해석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소상공인의 금융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저금리 대환대출 등 정책 자금을 확대하고, 폐업 시 대출금 일시상환 유예 등을 공약으로 내걸기도 했다. 이와 별도로 국정기획위원회는 은행별 중소기업 대출 공급을 책정하는 '중소기업 상생금융지수'의 도입을 고려 중이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은행 부행장들과의 비공개 회의에서 서민금융 상품 확대와 소상공인 채무조정 지원 등을 요청한 바 있다.

이에 은행들은 지난달 19일 국정기획위에 소상공인 지원 전문기관인 '소상공인 금융공사(가칭)' 설립를 요청한 상태다. 아울러 은행연합회는 △정책금융 공급 차별화 △폐업자 대환 프로그램 전 금융권 확대 △사업정리 종합컨설팅 제공 등을 제안한 바 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