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 호전되는 것 같아...2학기 복귀 상황 정부가 만들어야"
"억지 정책과 일방적 강행이 사태 악화...대화와 타협 통해 충분히 해결 가능"
차별금지법엔 “중요하지만 우선순위는 민생경제…사회적 토론 필요"
[미디어펜=김주혜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3일 의정갈등 해결 방안과 관련해 “여러 가지 상황이 호전되는 것 같다”면서 “이번 2학기에 가능하면 복귀할 수 있는 상황을 정부 차원에서 만들어 내야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취임 한 달을 맞아 청와대 영빈관에서 진행한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라는 제목의 기자회견에서 “의료 사태는 취임하면서 여러 국가적 현안 중 제일 자신이 없던 분야”라면서도 “그러나 정부가 바뀌면서 불신이 조금 완화되고 일부 복귀도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전 정부의 과도한 억지스러운 정책과 납득하기 어려운 일방적 강행이 사태를 악화시키고 의료 시스템을 망가뜨려 국가적으로도 손실이 컸다”며 “박단 전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도 만나봤고 의료 단체들과 면담해 본 결과 불신이 핵심이었다”고 진단했다.

   
▲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에서 출입기자의 질문을 듣고 있다. 2025.7.3./사진=연합뉴스

그러면서 “전 정부의 과도한 억지스러운 정책과 납득하기 어려운 일방적 강행이 사태를 악화시키고 의료 시스템을 망가뜨려 국가적으로도 손실이 컸다”고 비판했다.

이 대통령은 “또 하나 희망의 전조라고 보면 (의료 단체에서) 우리 복지부 장관 후보에 대해 환영성명을 냈다. 그것도 하나의 희망적인 사인”이라며 “신뢰를 회복하고 대화를 충분히 나누면 적절한 타협을 통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차별금지법 관련 입장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중요한 과제임은 맞지만 지금은 민생과 경제가 더 시급하다고 본다”며 “일에는 경중과 선후가 있고 무겁고 급한 일부터 먼저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갈등 요소가 많은 의제는 집중적 사회적 토론이 필요하다”며 “지금 당장 제가 직접 공론장을 운영하겠다고 말하긴 어렵지만, 국회가 먼저 나서서 논쟁적 의제를 토론해주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는 집행기관이기 때문에 국회가 역할을 하는 게 좋다”며 “영 안 되면 마지막에는 우리가 나서야 할 수도 있겠지만, 가능하면 국회가 논의를 선도해줬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김주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