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이재명 대통령은 3일 취임 30일을 맞아 청와대 영빈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현재 미국과 관세 협상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아직까지 쌍방이 뭘 원하는지 명확하게 정리되지 못한 상태”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관세협상이 매우 쉽지 않은 것이 분명하다. 7월 8일까지 다 끝낼 수 있을지 확언하기 어렵다”면서 “지금 최선을 다하고 있고, 쌍방에 호혜적인 결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다방면에서 (협력) 주제들도 많이 발굴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의 통상 협의를 재개할 방침이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오는 5~6일 미국 워싱턴DC를 찾아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등과의 면담을 추진 중이다.
이런 가운데 이날 인도태평양국가 가운데 베트남이 처음으로 미국과 무역 합의를 타결했다. 영국에 이어 두 번째로 미국과 관세율을 최종 합의한 것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4월 베트남에 대해 46%의 상호관세율을 책정했으나 이번에 20%로 대폭 인하하기로 했다. 미국은 다만 베트남을 통한 우회수출의 경우엔 40%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
▲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7.3./사진=연합뉴스
|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한일 수교 60주년을 맞아 과거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잇는 새로운 공동선언을 마련할 생각이 있는지' 또 '일본과 북한인권 문제나 안보 문제에서 어떤 협력을 할 수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한일관계 문제에서 과거사와 미래 협력 두 가지를 뒤섞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며 “서로에게 도움 되는 길을 찾아야 한다. 셔틀외교 복원도 제가 먼저 얘기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과 일본은 자유민주 진영의 일원이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노출돼 있다는 점도 똑같고, 미국과의 관계에서 특수한 동맹 관계에 있다는 점도 같다. 전략적인 군사적인 측면에서도 이해관계를 같이 하는 것이 많고, 또 경제적으로 협력할 여지가 많죠. 협력해야 된다”고 말했다.
또 "서로 과거사 문제 때문에 고통받고 있다. 말끔하게 정리를 못 하는 것도 괴로움의 일부"라면서 "독도를 둘러싼 영토 논쟁도 많다. 영토 분쟁이라고 할 순 없다. 대한민국이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명확한 대한민국 영토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북한 인권 질문과 관련해선 다소 북한의 고충 및 사정을 이해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내놨다.
이 대통령은 “(질문의 취지가) 북한의 인권 문제인지, 북한과 관련된 인권 문제인지 잘 모르겠지만, 일본이 (북한이 자행한) 일본인 납치자 문제에 관심이 높은 것을 안다. 우리 정부로서도 할 수 있는 게 있다면 협력하는 것이 맞겠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북한도 꽤 노력을 하는 것 같던데, 그것을 부인하거나 거부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잘 해결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 대통령은 “북한 내 인권 문제는 사실 매우 복잡하다. 우리 대한민국 국내 인권 문제도 잘 해결해야 될 것”이라며 “북한인권 문제에 우리가 개별 사안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지만, 북한 대중들의 삶을 개선하는데 인도적 지원을 하는 것도 북한의 인권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