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 유인 포집기·송풍기 등 방제장비 총동원… 법적 관리체계 도입도 추진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러브버그가 대량 발생한 인천 계양산 일대에 주민 불편이 급증하자 환경부가 긴급 대응에 나섰다.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현장 방제에 돌입한 가운데, 생활불편 곤충에 대한 법적 관리체계도 본격 논의된다.

   
▲ 환경부 본부와 소속기관에서 파견된 직원 37명과 계양구청 방제인력 10여명이 4일, 인천시 계양산에서 방제를 실시하고 있다./사진=환경부


환경부는 4일 붉은등우단털파리(일명 러브버그)로 인한 민원이 급증한 인천시 계양산에 대응 인력과 방제 장비를 긴급 투입했다고 밝혔다. 이날 현장에는 환경부 본부와 소속기관에서 파견된 직원 37명이 참여했으며, 계양구청 방제인력 10여 명과 함께 포충망, 송풍기, 살수장비 등을 활용해 집중 방제를 실시하고 있다.

현장에 방치된 러브버그 사체로 인한 악취 민원이 잇따르자 대대적인 수거 작업도 병행된다. 아울러 환경부는 빛에 유인되는 러브버그의 특성에 맞춰 개발된 '광원 포집 장비' 3기를 현장에 추가 설치하고 있다. 앞서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2일 계양산 일대에 해당 장비 4기를 긴급 배치했으며 유인 및 포집 효과가 확인된 바 있다.

환경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지자체와의 협업 체계를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하고 있다. 기존의 ‘환경부-서울시-국립생물자원관’ 협업 체계에 인천시, 경기도, 기초지자체를 포함한 대응 협의체를 구성하고 환경부 내에는 24시간 대책반을 운영 중이다. 대벌레, 동양하루살이, 미국선녀벌레, 깔따구 등 향후 대량 발생 우려가 있는 곤충에 대비하기 위한 조치다.

기후변화로 인해 곤충 서식지와 생태계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만큼, 환경부는 AI 기반 예측·방제 기술 등 중장기 R&D 투자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곤충별 생태 특성에 맞춘 친환경 방제기술을 확보하고 향후 국내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곤충 종 목록화 및 방제 연구도 추진된다.

현재 러브버그를 포함한 대량 발생 곤충은 법적 관리 대상이 아니어서 지자체 예산지원이나 중앙정부 차원의 기술개발 재원 확보에 어려움이 많은 상황인데, 환경부는 전문가, 지자체, 시민단체 등과 함께 생활불편 곤충의 ‘법정 관리종’ 지정 및 체계적 대응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올해 곤충 대량 발생이 심각한 수준이며 기후변화로 인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 여름철 내내 경계를 늦출 수 없다”며 “현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신속한 초기 대응과 인력·장비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