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8월 1일부터 모든 한국산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하면서 당초 오는 9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던 상호관세 문제에서 일단 시간을 벌게 됐다.
미국 측은 한국에 대해 25% 상호관세의 관세율을 유지했지만, 우리로선 3주의 시간을 벌게 됐고, 무엇보다 상호관세율 확정 이전 한미 정상회담을 열 기회도 얻은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한국·일본 등 14개국에 대한 상호 관세율을 공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에 공개한 관세 통보 서한에 따르면, 한국·일본·말레이시아·카자흐스탄·튀니지 25%, 남아프리카공화국·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30%, 인도네시아 32%, 방글라데시·세르비아 35%, 태국·캄보디아 36%, 라오스·미얀마 40%의 상호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서한에서 “무역장벽 철폐 등 관계 변화에 따라 관세율도 조정될 수 있다”고 알렸다.
이와 관련해 방미 중인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마코 루비오(Marco Rubio) 미국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한미 안보실장협의를 가졌다.
대통령실은 이날 한미 안보실장협의에 대해 “우리 측은 양국이 동맹 정신에 기초해 큰 틀에서 동맹을 더욱 강력하게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협의해 나갈 필요성을 강조했다”며 “이를 위해 한미 안보실장 간 긴밀한 협력은 물론, 조속한 시일 내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통해 제반 현안에서 상호호혜적인 결과를 진전시켜 나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미국 측은 공감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미 측은 한국을 포함해 주요국 대상 관세 서한이 오늘 발송됐으나 실제 관세 부과 시점인 8월 1일까지 시간이 있는 만큼 양국이 그 전까지 합의를 이루기 위해 긴밀히 소통해 나가길 바란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
 |
|
▲ 방미 중인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마코 루비오(Marco Rubio) 미국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한미 안보실장협의를 갖고 있다. 2025.7.8./사진=대통령실 제공
|
이번에 한미 안보실장협의에서 양국의 고위급 교류를 포함해 한미관계 발전 방안 등에 관해서도 심도 있게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측은 이재명 정부의 실용외교가 굳건한 한미동맹에 기반해 있다고 강조했으며, 양측은 지난 70여 년의 역사를 지닌 한미동맹이 변화하는 안보환경 속에서도 더욱 단단해질 수 있도록 계속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한미 간 조선 협력과 관련해서도 양측은 정부, 업계 등 다양한 영역의 역량을 결집하는 것이 이 분야에서 실질적이고 상호호혜적인 협력 방안 도출에 있어 관건인 만큼 긴밀히 조율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은 8일 미국의 25% 상호관세 부과 방침에 대응하기 위해 긴급 대책회의에 나선다.
이날 오후 김용범 정책실장이 주재하는 한미 통상 현안 관계부처 대책회의가 열린다. 이 회의에 대통령실에서는 김 실장과 하준경 경제성장수석비서관,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 윤성혁 산업업정책비서관이 참석한다. 관계부처에선 윤창렬 국무조정실장과 산업통상자원부·기획재정부·외교부 차관이 각각 참석한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도 이날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문신학 1차관 주재로 민관합동 긴급점검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회의에는 산업부를 포함한 정부 유관 부처 관계자들과 자동차, 철강, 이차전지, 바이오 분야 협회와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대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한편, 미 측은 지난 4월 9일 한국에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한 뒤 지금까지 기본관세 10%만 부과된 상태로 무역협상이 진행된 바 있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25% 관세율은 당초 4월 2일 한국에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수치다.
그동안 한미 간 지지부진한 협상 과정이나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볼 때 관세율을 줄이기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내는 서한에서 “미국은 당신의 위대한 나라를 상대로 심각한 무역적자를 보고 있다. 그럼에도 당신들과 진전하기로 했다”면서 “다만 좀 더 균형 잡히고 공정한 무역이 필요하다. 한국의 관세, 비관세적 무역장벽으로 인한 지속적인 무역 적자로부터 이행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