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코스피 지수가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서한 발송 등의 악재에도 불구하고 2% 가까이 오르며 3110선을 회복했다.

   
▲ 코스피 지수가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서한 발송 등의 악재에도 불구하고 2% 가까이 오르며 3110선을 회복했다./사진=김상문 기자


8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55.48포인트(1.81%) 상승한 3114.95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지수는 전장 대비 12.27포인트(0.40%) 상승한 3071.74로 개장해 장중 오름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장 후반 다시 위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국내 증시는 아시아 주요국 증시 대비 강세가 돋보였다. 일본 닛케이225지수와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각각 0.26%, 0.66% 오르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또한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0.1원 오른 1367.9원을 가리켰다.

국내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460억원, 225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지수를 부양했다. 개인은 2606억원어치를 팔았다. 외국인은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도 5860억원어치를 사들였다.

국내 증시는 미국 트럼프 정부가 관세 서한에서 한국산 제품에 지난 4월 2일 발표한 수치와 동일한 25% 관세율을 통보했다는 소식에도 향후 협상 가능성을 주시하며 매수세가 유입되는 흐름을 나타냈다.

또한 개장 직전 삼성전자가 시장 전망치를 대폭 밑도는 2분기 잠정 영업이익을 발표했음에도,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3조9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결정 소식이 함께 전해지면서 낙폭이 제한됐다. 삼성전자는 전일 대비 0.49% 하락했다.

이밖에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SK하이닉스(4.06%)가 급등해 5거래일 만에 28만원선을 회복했다. KB금융(6.64%), 신한지주(7.73%), 미래에셋증권(6.21%) 등 금융·증권주도 배당 세제 개편 및 호실적 기대감에 일제히 상승했다.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1.55%), LG에너지솔루션(-2.54%), 셀트리온(-1.85%) 등은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증권(6.38%), 운송창고(1.16%), 유통(1.37%) 등 대다수 업종이 올랐으며 제약(-1.36%) 등은 떨어졌다.

한편 코스닥 지수 역시 전장보다 5.78포인트(0.74%) 오른 784.24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거래대금은 각각 13조3650억원, 5조3350억원으로 나타났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