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정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일본의 ‘군함도 후속 조치’를 공식 의제로 채택하는 것을 추진했으나 초유의 한일 간 표 대결 끝에 패배했다.
세계유산위는 7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47차 회의에서 우리측이 ‘메이지 산업유산(군함도) 관련 이행 조치에 대한 평가’를 잠정 의제로 상정하자, 일본측은 한국의 제안을 삭제한 수정안을 제출했다.
한일 양국의 주장이 맞부딪히면서 이례적 표대결이 벌어진 결과 21개 위원국 중 7개 국가가 일본의 수정안에 찬성했다. 3개 국가가 우리측을 지지했으며, 8개 국가가 기권했고, 무효표가 3표가 나왔다.
조선인 강제동원 현장인 일본 군함도가 세계유산이 된 지 10년이 됐다. 하지만 일본은 강제동원의 역사를 알리겠다던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
|
 |
|
▲ 지난 1일 오전 일본 나가사키현 하시마(일명 '군함도') 인근 해상의 유람선에서 보이는 군함도. 2022.7.4./사진=연합뉴스 |
이에 따라 우리정부는 세계유산위에서 일본측의 약속 불이행 문제를 다루려고 했으나 일본은 한일 양국 차원에서 다툴 문제라고 주장하며 반대한 것이다.
외교부는 8일 많은 위원국의 공감에도 불구하고 의제 채택에 필요한 표가 확보되지 못한 점에 대해 유감이라고 밝혔다.
이재웅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세계유산위 결정의 이행 상황을 점검하는 것은 당연한 권리이자 원칙”이라며 “정부는 세계유산위 회의 기간 중 적절한 계기에 일본 근대 산업시설 관련 결정 이행 문제에 대한 우리입장을 정식으로 밝히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또 “앞으로도 양자 및 다자 차원에서 일본이 세계유산위의 관련 결정과 스스로의 약속을 성실히 이행할 것을 지속 촉구해 나갈 예정”이라면서 “정부는 과거사 현안에 대해서는 우리입장을 분명히 해 나가면서도 일측과 상호신뢰 하에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이어나가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