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박준모 기자]현대제철이 ‘안전한 100년 제철소’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체계적인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자회사 및 협력사와도 협력을 통해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환경 조성에 박차를 가하면서 안전 문화 정착에 힘쓰고 있다.
|
 |
|
▲ 현대제철 안전보건 상생협력 협약식'에서 (왼쪽부터)홍영기 디에이치스틸 대표, 서강현 현대제철 대표, 이명구 현대아이티씨 대표가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현대제철 제공 |
현대제철은 9일 당진제철소에서 자회사 및 협력사 14곳과 함께 ‘하나의 안전가치 추구’라는 안전경영 슬로건 실현을 위해 안전보건 상생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 참여사들은 △안전보건에 대한 공동의 책임의식과 안전문화 정착 △현장 위험요인 적극 발굴‧개선과 위험성 평가에 기반한 안전 작업 절차 준수 △안전수칙 준수 및 기초안전질서 실천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안전보건 상생협력 협약서’에 서명했다.
협약식에 참석한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은 “철강업은 중량물과 고온‧고압의 물질을 다루는 고위험 작업이 많은 산업”이라며 “특히 여름철 임직원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리더들이 직접 현장을 살피고 위험요인을 개선하는 솔선수범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협약식에 이어 고흥석 현대제철 SHE(안전‧보건‧환경)본부장 주재로 ‘상생협력 안전보건 간담회’가 열렸다. 간담회에서는 혹서기 안전보건 강화 대책과 자율 안전문화 조성 방안을 주제로 한 토론이 이어졌다.
현대제철은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 지난해에는 안전순찰 강화, 거위험 공정 예방관리 강화, 안전보건 역량 강화, 화학물질 관리 시스템 구축 등의 성과를 올렸다.
올해는 안전실행력 향상을 위한 현장 소통을 강화하고, 스마트 안전 리딩공장 구축, 현장 안전 마인드 향상을 위한 워크숍 및 교육 확대 운영, 고위험 작업환경 개선 등에 나설 방침이다.
또 현대제철은 근로손실재해빈도율(LTIFR)을 정량화해 사고 예방과 안전 수준 향상을 위한 관리 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2024년에는 2.39건으로 목표치인 2.89건을 초과 달성했으며, 2027년에는 2.05 이하까지 낮춘다는 계획이다.
[미디어펜=박준모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