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불볕 더위로 전력 사용량이 한여름 수준까지 치솟은 가운데, 전력당국이 8월 2주차쯤 최대 전력 수요가 97.8GW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
 |
|
▲ 여름철 에너지 절약 실천 요령./사진=산업부 |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여름철 전력수급 전망 및 대책'을 발표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올해 7월 상순 평균기온은 역대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8일 서울 최고기온은 37.8도(℃)로, 이미 작년 실적(36.4도)를 넘어섰다. 같은 날 전력 수요는 95.7GW로 역대 2위를 기록했다. 7월 기준으로는 역대 1위다.
전력 당국은 이번 여름철 최대 전력 수요가 97.8GW까지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 번 냉방기기 사용을 시작하면 지속하는 경향이 있고, 8월 초 기온이 7월보다 통계적으로 더 높아서다. 기상청도 올해 8월과 9월 기온 모두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어 지난해처럼 9월까지 늦더위가 지속될 가능성도 있다.
산업부는 발전기 정비 일정 최적화 등으로 충분한 전력 공급 능력을 확보해 최대 전력 수요가 상한치인 97.8GW까지 높아지더라도 예비력은 8.8GW로 전력 당국이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했다. 폭우나 태풍 등으로 설비가 고장나거나, 역대급 폭염 지속으로 수요가 더 높아질 가능성 등에 대비해 약 8.7GW의 비상자원도 별도로 준비해 뒀다는 설명이다. 또 설비 고장 가능성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노후화된 설비는 미리 교체하고, 취약설비는 전수 조사해 사전에 보수작업을 마친 상황이다.
아울러 폭염에 전력 사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지난 1일부터 연간 전체 에너지 바우처 지원액(최대 70만1300원)을 일괄 지급하고, 전기요금 감면 한도를 확대(최대 월 2만 원) 지원하고 있다.
또한 7~8월 전기요금 누진제 구간을 완화해 냉방 사용에 따른 전기요금 부담을 전체적으로 줄이고 있다. 에너지 바우처를 발급받고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없도록 개별 가구에 카카오톡과 문자 등으로 수시로 제도 홍보를 하고 집배원이 직접 방문해 사용을 안내하는 등 실제 체감할 수 있는 실사용 독려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안덕근 장관은 "아직 까지는 예비력이 충분해 예상보다 높은 기온에도 불구하고 전력수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면서 "폭염, 태풍, 대규모 설비 고장 등 어떠한 위기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미리 준비한 위기대응 수단을 적시 가동해 전력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