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집계하는 한국의 경기선행지수(CLI)가 7개월째 상승하며 3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내며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새 정부의 확대 재정정책 등에 따른 경기회복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
 |
|
▲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13일 OECD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101.08로 2021년 11월(101.09) 이후 3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OECD 경기선행지수는 경기 전환점을 빨리 포착하기 위해 고안된 지표로, 6∼9개월 후 경기 흐름을 미리 가늠하는 데 쓰인다.
경기선행지수가 기준선인 100보다 높으면 향후 국내총생산(GDP) 수준이 장기 추세를 웃돌고, 100보다 낮으면 장기 추세를 밑돌 것으로 전망할 수 있다.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2022년 7월(99.82)부터 20개월 동안 100 아래에 머물다가 지난해 2월(100.02) 100을 넘어섰다. 이후 완만히 상승하다가 지난해 8∼11월 4개월 동안 하락했고, 다시 12월부터 연속 상승하고 있다.
지난달 한국의 경기선행지수 수준은 OECD가 공개한 12개 회원국 중 영국(101.16)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4위를 기록했고, 올해 2월 3위로 오른 뒤 3월부터 2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의 지수 수준은 주요 20개국(G20) 평균 100.50, 주요 7개국(G7) 평균 100.51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는 한국 경기선행지수가 다른 OECD 국가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더 강한 미래의 경기 확장 기조를 가리킨다는 뜻이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