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피해목 공공부문 목조건축물에 활용
풍수해 대비 가로수 정밀 안전진단 추진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정부가 산불 피해목을 공공부문 목조건축물에 사용하고, 태풍이나 강풍을 대비해 가로수의 정밀 안전진단도 추진한다.

산림청은 지난 봄철 발생한 경북 지역 산불로 인한 피해목의 수요처를 찾기 어려워 산주들의 피해가 가중되자 산불 피해목을 공공부문 목조건축사업에 이용할 수 있도록 민·관이 힘을 모았다고 14일 밝혔다.

   
▲ 경북 산불피해목 제거 후 집재(경북 영양)./사진=산림청


이는 민·관 합동 실무협의회를 통해 추진됐으며 경상북도, 광주시, 충주시, 제천시, 영양군, 목재문화진흥회, 국산목재협동조합 등이 참여했다. 

경북 지역 산불 피해목 중에 건축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소나무 등을 제재목으로 가공해 서울시 국립목재문화체험장, 경기도 광주시 목재교육종합센터, 충청북도 충주시 목재문화관, 충청북도 제천시 월악산 관광안내센터에서 추진하고 있는 공공부문 목조건축 사업에 이용하게 된다.

또한 산불 피해목의 신속한 이용을 위해 올해는 충북 제천시에 위치한 국산목재협동조합에서 가공하고, 내년부터는 산림청 지원으로 경북 포항시에 조성하고 있는 경상권 목재자원화센터에서 경북 지역의 산불피해목을 가공해 이용할 계획이다.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올해 발생한 대형산불 피해지역을 다시 울창한 숲으로 복원하기 위해 위험목 제거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있다”며, “민간기업, 지방자치단체와 힘을 모아 산불 피해목의 자원가치를 높이기 위한 적극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산림청은 풍수해 대비 가로수 정밀 안전진단도 추진한다.

태풍, 강풍이 동반된 호우 등에 대비해 18일까지 수목 안전진단 전문가, 지방자치단체 등과 함께 민·관 합동으로 전국 가로수에 대해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이번 점검은 풍수해에 상대적으로 약한 노령목, 대형목과 함께 양버즘나무 등 바람에 약한 수종을 대상으로 하며, 인구 밀집지역 등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장소는 중점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점검은 육안으로 주변 시설물과 나무 수관의 접촉으로 인한 간섭 등 위험 요소와 수목 전반에 대한 건강성을 조사하고, 정밀장비인 비파괴단층촬영기를 활용해 수목 내부의 구조적 안정성도 심층적으로 진단한다. 

진단 결과 위험성이 높게 나타난 수목은 가지치기, 지지대 보강, 제거 등 즉각적인 안전조치 이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 수목 비파괴 단층촬영기를 이용한 정밀안전진단./사진=산림청


또한 가로수 위험 요인을 지속적으로 분석해 중점 점검사항, 관리방안 등 가로수 위험성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취약 수목에 대한 관리는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최영태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가로수는 폭염에 시원한 그늘을 제공하는 고마운 녹색 인프라이지만, 기상이변이 잦은 요즘에는 사전 점검을 통해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가로수의 혜택을 모두가 안전하게 누릴 수 있도록 가치 있고 건강한 가로수로 가꾸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