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북한이 대한민국의 주적이란 의견에 동의하나’란 질문에 “북한은 우리의 주적이 아니며 위협”이라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14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야당 의원들의 ‘북한이 핵무장을 하고 우리를 향해 미사일 위협을 가하는데도 위협일 뿐이냐’란 이어지는 질문에도 “(미사일을) 쏠 필요가 없는 상황을 만들어가는 것이 우리정부가 할 일이다. 충분히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에 대한 ‘주적’ 표현은 1995년 국방백서에서 처음 사용됐다. 이후 2004년 노무현 정부 당시 이를 ‘직접적 군사 위협’으로 변경했다. 이후 가장 최근에 발간된 2022 국방백서에선 ‘북한정권과 북한군은 우리의 적’이라고 명시됐다.
아울러 정 후보자는 ‘북한에 무인기를 보내 동향을 살피는 것이 불법이냐’는 질의엔 “인공위성도 있고 고고도 정찰위성도 있다”고 답해 북한으로 무인기를 보내 정찰하는데 부정적인 의견을 표했다.
|
 |
|
▲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7.14./사진=연합뉴스
|
또한 ‘통일부 명칭 변경’과 관련한 질문에 정 후보자는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에서 여야가 함께 의논해야 할 아주 중요한 사안으로 통일부 명칭 변경이 필요하다”며 “한반도부가 대안 중 하나”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 묘안과 관련해 한미군사훈련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묻는 김준형 조국혁신당 의원의 질문에 정 후보자는 “의원의 문제의식에 동의한다”면서 “앞으로 NSC(국가안전보장회의) 등을 통해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답했다.
그는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2017년 말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3월로 예정된 한미 군사연습을 연기하겠다. 이것을 미국에 제안하겠다’고 밝힌 것이 (대화의) 물꼬를 텄던 것은 중요한 함의가 있다”면서 “청문회를 거쳐서 임명이 되면 NSC의 일원으로서 외교부, 국방부, 통일부, 국정원 등 관계부처 책임자들과 심도 깊게 종합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미연합훈련에 관한 견해를 정확히 밝혀달라’는 김건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엔 “‘한미연합훈련이 너무 공격적이다, 중단하겠다’는 것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두 차례 직접적인 약속이었다. 미국 대통령도 중단하겠다고 당당하게 얘기하는데 그러면 이것의 축소, 조정, 연기를 충분히 검토할 수 있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정 후보자는 “한미연합훈련이 아니면 대한민국의 안보가 흔들린다는, 그런 소아적 좁은 시각에서 벗어나야 된다”면서 “한미훈련의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다. 윤석열 정부처럼 대폭 강화해서 실기동훈련 중심으로 하는 방안도 있고, 문재인 정부처럼 도상연습으로 갈음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