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이슈 부각 “최근 탈원전 주장한 적 없어”
“탈탄소 사회로 매우 빠른 속도로 전환해야”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열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안전이 담보되는 한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적절히 믹스하면서 가는 게 대한민국의 장차 에너지 정책이 돼야 할 것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7월 1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이 같은 답변은 야당 의원들의 “급격한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은 환경·재정적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과거와 (에너지정책에 대한)입장이 바뀐 것이냐”, “원전의 경쟁력은 인정하나” 등의 질의에 따른 것이다.

김 후보자는 “탈탄소 사회로의 전환이 매우 중요하기에 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해야 하는데 간헐성이라는 단점이 있고, 원전도 매우 중요하지만 위험성이라는 문제가 있다”며 “그런 면에서 원전 안전성을 높이고 재생에너지 간헐성을 줄이면서 탈탄소 사회로 매우 빠른 속도로 전환해야 기후위기를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이 “김 후보자는 그간 탈원적 정책의 1인자이며 재생에너지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이런 이력은 자연환경 정책은 소홀할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과거 탈원전은 대세라고 말했는데, 발언과는 다르게 장관 지명 이후에는 비교적 탈원전에 대해 모호한 입장을 보기고 있다”면서 “후보자는 에너지 정책이 전문인가, 아니면 환경정책 전문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이에 김 후보자는 “모든 부문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라면서 “그 발언 당시는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터졌을 때다. 문재인 정부 때만 해도 후쿠시마 문제가 있어서 원전 설계수명이 다 되면 중단한다고 했지만 이재명 정부는 안전성이 담보된다면 계속 운전할 수 있도록 허용했고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도 원전 2기를 추가로 짓는 것도 지난 정부에서 확정했다”면서 재차 탈원전은 아님을 강조했다. 

또한 과도하고 급격한 탈원전을 우려하는 김 의원의 질의에는 “제가 탈원전을 최근에 주장한 적은 없다”며 “모호하지 않게 잘하겠다”고 답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