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력망 부족에 따라 2031년 이전 신규 발전허가를 제한하고 있는 지역에서 2.3GW 규모의 계통 접속을 재개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현재 호남권과 강원·경북 동해안 등은 발전 설비에 비해 전력망이 부족한 상황으로, 발전사업자는 신규 발전허가를 받더라도 전력망 보강 시점 이후로 계통 접속이 가능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전력망 보강이 필요하지만, 전력망 건설엔 물리적인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단기간 내 해결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정부는 계통 접속을 재개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 모색한 결과, 지난 10일 대통령실 브리핑을 통해 연말까지 호남권에서 2.3GW의 물량에 대해 계통 접속을 실시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이날 발표한 이행대책은 이에 대한 구체적인 물량과 일정이다.

전력당국은 전력망이 보강되기 전이라도 조기에 계통 접속이 가능하도록 올해 상반기까지 호남권에서 허수사업자 회수물량 0.4GW와 배전단 유연접속(우선출력제어 조건부 접속) 가능 물량 1.9GW 등 총 2.3GW를 확보했다. 배전단 유연접속은 변압기 여유가 확인된 변전소의 배전선로(22.9kV)에 연계돼 송전망 혼잡시간에는 최우선 출력제어를 받는 대신 2031년 이전이라도 신규 발전허가를 받을 수 있는 접속방식이다. 이에 따라 해당 물량들을 발전수요자에게 배분해 재생에너지의 조기 계통 진입을 유도할 계획이다.

허수사업자 회수 물량(0.4GW)은 이번 추진 일정 안내를 시작으로 이달 말까지 기존 접속대기 중인 사업자에게 배분을 완료한다. 8월에는 잔여용량을 한전, 허가기관 누리집 등을 통해 안내하고, 발전허가를 받았으나 아직 망 이용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사업자와 신규 발전사업 희망자에게 배분한다. 이어서 9월까지 전국의 허수사업자 회수물량을 추가 확보 후, 10월부터는 전국을 대상으로 배분할 계획이다. 

배전단 유연접속 물량도 7월 일정 안내 절차를 거쳐 8월 중 희망 사업자를 모집하고 호남권 배분 절차를 마무리한다. 9월에는 전국의 배전단 유연접속 가능 물량을 확정짓고, 10월부터는 전국을 대상으로 배분을 진행할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은 송전망 부족 상황에서도 계통 접속을 진행할 수 있는 조치로, 각 제도 세부내용에 대한 사업희망자와 허가권자(중앙, 지자체) 등의 제도 이해도가 매우 중요하다"며 "전력 당국은 이달 중 발전사업자, 지역주민, 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제도 설명회를 열고, 제도 이해와 참여를 유도할 것"이라고 했다.

구체적인 세부내용과 일정 등은 한전 누리집(한전ON)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희망사업자 대상 안내 등도 필요할 경우 추가로 실시할 계획이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