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박소윤 기자]정부의 '6·27 규제' 시행으로 수도권 등 지역의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 원으로 제한되면서, 이들 분양시장이 '현금 여력'을 갖춘 수요자 중심으로 재편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대출에 의존한 '내 집 마련'이 어려워지며 현금 보유 여부가 당락을 가르는 현상이 뚜렷해질 것이란 분석이다.
|
 |
|
▲ 정부의 대출 등 규제 시행으로 해당 지역 분양 시장이 '현금 부자' 위주로 쏠릴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20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전국에서 분양이 예정된 아파트는 총 156개 단지, 13만7796가구(일반분양 6만4697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상반기 실분양 물량(7만1176가구, 일반분양 5만1911가구) 대비 93.6% 증가한 수치다.
하반기 물량 중에서는 수도권의 몫이 전체의 59.9%에 달하는 8만2484가구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5만7240가구로 가장 많았고, 서울(1만9623가구), 인천(1만2204가구)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에서는 송파구 잠실르엘, 서초구 래미안트리니원, 은평구 갈현1구역, 관악구 신림2구역 등의 분양이 대기 중이다.
그러나 분양시장의 분위기는 녹록지 않다. 지난달 적용된 주담대 등 대출 규제로 인해 분양계약 이후 수분양자가 마련해야 하는 자금 부담이 크게 늘었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6월 27일 수도권·규제지역 내에서 취급하는 주택구입목적 주담대의 최대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고, 수도권·규제지역 내 2주택 이상 보유자는 추가 주택구입 목적의 주담대를 금지하는 내용의 규제 방안을 발표 및 시행했다.
업계에서는 대출 규제와 매수 심리 약화 등이 맞물리면서 자금력을 갖춘 수요자 중심의 거래가 이뤄질 공산이 크다고 평가하고 있다. 고분양가에도 불구하고 대출 없이 계약까지 이어갈 수 있는 '현금 부자'들이 시장의 주력 수요층으로 자리잡으면, 향후 분양시장 양극화가 가속화될 수 있다는 우려다. 또 일부 단지에서는 미계약 물량까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는 평가다.
오피스텔 등 비(非)아파트 상품 역시 규제의 영향을 피하지 못하는 모양새다. 일각에서는 규제 이후 이들 매물이 '풍선효과'를 누릴 것이란 기대도 있었지만, DSR 강화 등으로 실제 거래량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15일까지 서울 지역 오피스텔 매매 건수는 329건으로, 대책 발표 2주 전(593건) 대비 약 45% 줄었다. 오피스텔은 '준주택'에 해당해 주담대 한도 등에서는 제외됐지만, 스트레스 DSR 확대 적용 대상에는 포함됐다. 아파트와 동일하게 DSR 기준이 적용되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대출 여력이 제한되면서 고분양가 단지에서 계약까지 이어가는 수요는 '자산 여력'이 확실한 계층이 될 것"이라며 "분양시장의 수요자 양극화 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디어펜=박소윤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