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첫 일성, 탈탄소로의 속도전 강조
“2030년 2018년 대비 40% 감축해야 할 의무 있어”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이재명 정부의 첫 환경부 장관으로 임명된 김성환 장관이 탈탄소로의 속도전을 강조하고 나섰다. 

   
▲ 김성환 환경부 장관./사진=환경부


김 장관은 22일 취임사를 통해 “더 늦기 전에, 화석연료 기반의 탄소 문명에서 벗어나 재생에너지 중심의 탈탄소 녹색 문명으로의 대전환이 매우 절박한 시점”이라며 미래는 탈탄소 산업 경쟁력이 곧 국가 경쟁력인 시대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어 김 장관은 세계기상기구(WMO)의 ‘2024년 전 지구 기후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 대비 1.55도 상승했다고 전하며 “국제사회가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해 설정한 마지노선을 넘어선 것으로 한반도도 예외는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실례로, 안면도에서 측정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지난해 430ppm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이제는 일 년에 약 3ppm씩 증가한다며 “과학자들은 이산화탄소 농도가 450ppm을 초과하면 지구 온도가 2℃ 이상 상승하고, 세계 경제가 붕괴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현재 추세라면 약 6~7년밖에 남지 않았다”고도 부연했다. 

그러면서 김 장관은 “탈탄소 사회로의 전환에 속도를 내야한다”며 “쉽지 않은 목표지만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해야 할 의무가 있다. 전환·산업·수송·건물 등 전 부문에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의지와 노력으로 탈탄소 전환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이와 함께 탈탄소 산업에 대해 김 장관은 “전기차, 배터리, 히트펌프, 재생에너지 등 탈탄소 산업의 육성은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국내 기업의 수출 경쟁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특히 태광, 풍력, 바이오가스 등 지역 특성에 맞는 재생에너지를 대폭 확대하고, 이익을 지역주민과 공유하면 지역 활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녹색산업 육성을 기후위기 대응과 지역발전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외에도 기후재해 대응시스템 점검 등 빈틈없는 기후재난 안전망 구축과 플라스틱 로드맵 마련 등 지속 가능한 순환 경제 실현, 4대강의 자연성 회복 등 국민이 체감하는 쾌적한 환경 조성을 과제로 제시했다.

조직 개편을 앞두고 있는 환경부 조직 내의 변화도 주문했다. 그는 “이재명 정부 5년은 절체절명의 기후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중차대한 시기가 될 것”이라며 “이제는 규제 부처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미래세대가 지속 가능한 삶을 이어 나갈 수 있도록 탈탄소 녹색 문명을 선도하는 부처가 되자”면서 새 정부의 탄소중립 의지를 다시 한번 다졌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