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식 대신 수해피해 현장 찾아 복구상황 점검
기후재해 대응시스템 “전반 점검, 근본적으로 바꿔가야”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김성환 신임 환경부 장관이 2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한 이후 취임 첫 현장 행보로 국가하천인 충남 예산군 삽교천 제방유실 피해 현장을 찾아 복구상황을 점검했다. 

   
▲ 김성환 신임 환경부 장관이 22일 충남 예산군 삽교천 제방 유실 현장을 찾아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복구에 총력을 다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사진=환경부


김 장관은 아직 홍수기가 끝나지 않은 만큼 취임식 없이 곧바로 수해 현장을 찾아 기후 위기 시대, 극한 호우에 대비한 예측 능력 강화와 취약한 하천시설 인프라 보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삽교천 일대는 지난 16일부터 17일까지 짧은 기간 동안 421mm의 많은 비가 내렸으며 불어난 물로 인해 약해진 제방 2곳이 유실되고, 이로 인해 농경지 740ha, 가옥 82동, 비닐하우스 102동이 침수되는 피해를 입은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에 환경부 소속 금강유역환경청과 예산군은 삽교천 제방 유실이 발생한 2곳 중 삽다리교 인근 제방은 응급 복구를 완료했고, 구만교 인근 제방은 응급 복구를 진행 중이다.

이날 현장을 방문한 김 장관은 “이재명 대통령이 본질적인 수해대책을 지시했다. 예산이 들더라도 해야 한다”면서 “극한 호우가 반복될텐데, 모든 곳에 갑문을 설치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으로 자연상태를 유지하면서 기후변화에 대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김 장관은 취임사를 통해서도 “기상 여건이 과거와는 크게 달라져 기후재해 대응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점검하고 필요한 부분은 근본적으로 바꿔나가야 한다”면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은 국가의 가장 기본적인 책무로, 한 치의 소홀함이 있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또한 “모든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 앞으로 모든 기후·환경정책은 현장에서 직접 보고, 듣고, 소통하면서 현장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완성해 나가자”고 언급한 만큼, 첫 현장 행보로 솔선수범의 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