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김성환 신임 환경부 장관이 기후에너지부 등 정부의 조직개편안과 관련해 “길게 끌 일도 아니니 가급적 빠른시일 내에 정부 방침을 확정해달라고 요청할 예정”이라면서 “그래야 정부 내의 (조직개편)문제 때문에 오는 불안정성을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 신임 감성환 환경부 장관./사진=미디어펜 |
김 장관은 김 장관은 22일 세종정부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확정된 사안이 아님을 전제로, 현재 두 가지 안으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국정기획위원회에서 현재 환경부에 산업부 2차관이 담당하는 에너지차관실 붙여 가칭 기후환경에너지부로 바꾸는 안과 환경부의 기후정책실 파트와 산업부 에너지 차관실을 합해 기후에너지부를 별도 신설하는 안으로, 1안과 2안을 대통령실과 협의 중”이라면서 “산업부가 현재대로 있는 안은 없었다”고 말해, 어느 방식이든 에너지 분야의 재편이 있음을 시사했다.
이에 “산업부 장관은 에너지 부문이 떨어져 나가는 거 반대한다는 얘기를 했는데, 이견 있는 건가”라는 질문에 김 장관은 “신임 산업부 장관 입장으로는 기존 직원들의 여러 정서 등으로 볼 때 그렇게 말할 수도 있겠다는 정도로 이해한다”며 즉답을 피했다.
이어 김 장관은 환경부의 역할과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전략적인 태도와 전반적인 전환을 강조했다.
앞서 인사청문회와 취임사에도 강조했듯 탈탄소로 전환의 시급성을 내비치면서 “현재 지구 전체가 버틸 수 있게 남아있는 탄소의 총량이 5000억 톤 정도 된다고 하는데, 이 기준이 너무 보수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고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올라가는 속도가 빨라 연간 마지노선인 2도도 막기가 어려워보인다”며 “좀 더 절박한가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환경부 공무원들을 겨냥해 “탈탄소 사회로 전환하는 새로운 문명기 중심에 있는 대민부서가 환경부라고 생각한다. 때문에 몸소 실천하는 일을 해야되는 데도 불구하고 환경부 내의 친환경 전기차 보유 대수를 확인해 보니 일반 국민 평균 수준 넘어가질 못하더라”고 꼬집기도 했다.
또한 그가 주장해 온 “환경부는 규제 부처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탈탄소 녹색 문명을 선도하는 부처가 돼야 한다”는 의미에 대해 “규제라기보단 전환의 안내라고 보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규정했다.
김 장관은 “기후위기 시대에 소위 내연차는 필연적으로 전기차 중심으로 바뀔 수밖에 없다”면서 “태양광, 풍력, 히트펌프, 전기차 배터리 등 각종 전력산업들과 탄소에 의존하지 않는 새로운 산업군 키우면서 새 문명체계를 짜는 일을 환경부가 안내하고 유도하고 보조하고 지원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부연해, 새로운 방향 전환을 예고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