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상문 기자]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21일부터 전국에서 본격 지급되고 있다. 이틀째인 22일 오전 찾은 경기 안양시 부림동 행정복지센터에는 업무 시작 전인데도 입구부터 늘어선 어르신들의 모습이 긴 줄을 이었다.
"더운데 안으로 들어오세요"라는 동사무소 직원의 안내로 접수처에 들어서면 직원이 온 순번대로 번호표를 나누어 준다. "오늘은 2번과 7번입니다"라며 간단한 서류를 작성을 안내한다. 간편한 심사 후 쿠폰 카드를 건네며 직원이 덧붙인다.
"아버님 쿠폰은 거주지 내 식당, 편의점, 시장에서만 사용하시고 백화점·대형마트는 안 돼요"라며 이용 방법을 설명한다.
쿠폰을 받은 소감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김덕수(78세) 씨는 "손주들 과자 사주고, 할머니와 시원한 냉면을 먹고 싶다"며 엷은 미소를 띤다.
|
 |
|
▲ 행정안전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이틀 만에 1천428만 명에게 2조 5천860억 원 지급되었다고 밝혔다. 사진은 22일 안양시 한 주민센터에서 쿠폰 발급 현장.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근처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가 부착된 편의점을 찾았다. 쿠폰 지급 효과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점주 조현미(56세) 씨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무어라고, 사용은 지역 한정이지만 체감 효과는 좋다"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그러면서 "요즘 경기가 너무 안 좋아서 저녁에는 다른 업주 사장님들이 편의점에서 야간 알바를 할 정도였다"고 애로를 토로한다.
편의점에서 도시락을 구입한 대학생 이민지(23세) 씨는 "카드 발급받는데 5분도 안 걸렸다"며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있어 든든하다"고 말한다.
|
 |
|
▲ 인천 계양산 전통시장 신발 가게에 ‘민생회복 지원금 사용처’ 스틱커가 부착되어 있는 가운데 한 소비자가 신발을 고르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인천 계양동에 위치한 계양산 전통시장, 평일 오후 장바구니를 든 손님들이 줄지어 상점들을 오간다. 상품 진열대 위에는 ‘민생회복 지원금 사용처’라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두부가게 앞에서 한 손님이 "이거 지원금으로 되나요?"라는 물음에 주인은 기다렸다는 듯 "그럼요"라며 밝게 맞이한다.
과일가게 주인은 "코로나 때보다 장사가 더 어려웠는데,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덕에 시장 분위기가 살아나는 느낌"이라며 "손님들이 지원금으로 사면 부담이 덜해져서, 평소보다 한 봉지씩 더 사 가요"라며 활짝 웃었다.
|
 |
|
▲ 정부가 경기 침체로 얼어붙은 소비를 살리기 위해 도입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본격적으로 풀리면서, 지역 상권이 조금씩 숨을 돌리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시장 길 건너편에서 약국을 운영하는 약국 주인은 "윤석열 전 정부 때 진작에 시행했어야 할 정책인데… 늦었지만 다행이죠. 이재명 정부가 이렇게라도 지원해 주니 숨통이 좀 트인다"라며 약국도 '민생회복 지원금 사용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약국을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동안 한 시민은 친구에게 "나는 아내에게 '카드깡' 했다"는 너스레를 떠는 모습도 보였다.
|
 |
|
▲ 경기 침체로 얼어붙은 소비를 살리기 위해 도입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역 상권을 조금씩 숨을 돌리고 있다. 사진은 인천 계양산 전통시장 전경.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한편 행정안전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이틀 만인 22일 1428만 명에게 2조5860억 원 지급됐다고 밝혔다.
|
 |
|
▲ 재래시장, 편의점, 음식점까지…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도심 골목상권에 숨결을 불어넣고 있다. 그러나 상인들은 “이 불씨가 꺼지지 않으려면 지원금 이후에도 이어질 경제 회복 전략이 필요하다”라고 입을 모았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
[미디어펜=김상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