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무장관·에너지장관 등 주요 인사 면담
전략 산업·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 방안 등 논의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7일 서한을 통해 내달 1일부터 각국에 상호관세를 본격 부과하겠다고 통보한 가운데, 우리 정부가 시한 전 협상 타결을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 김정관(왼쪽)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대미 통상 협상을 위해 23일 인천국제공항에서 미국 워싱턴 D.C.로 출국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김정관 장관이 23일부터 25일까지(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해 한미 관세 협상 진전과 산업·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 방안 논의를 위한 장관급 협의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방미는 김 장관 취임 직후 이뤄지는 첫 미국 방문으로, 8월 1일 예고된 미측 관세조치 시한이 임박한 상황에서 정부 차원에서 전방위적으로 전개하는 고위급 관세 협상 대응활동의 일환이다.

김 장관은 방미 기간 동안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장관, 더그 버검 국가에너지위원회 위원장 등 미 정부 주요 인사를 면담할 예정이다. 

김 장관은 국익 극대화와 상호호혜 원칙 하에 우리 측이 그간 제안해 온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쉽'을 바탕으로 관세 협상 진전 방안을 모색하고, 조선·반도체·배터리 등 전략 산업 분야와 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 방안도 폭넓게 논의할 계획이다.

김 장관은 "관세 협상 결과가 우리 경제에 미칠 수 있는 파급력이 큰 만큼, 정부는 우리 산업 전반의 민감성 등을 면밀히 고려해 철저히 대응할 것"이라며 "현재 미 관세 조치 향방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나 범정부 차원의 긴밀한 공조 하에 국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협상에 임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를 계기로 한미 간 산업 및 에너지 분야 협력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수 있는 포지티브 섬(positive sum)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25일 미국과 '2+2 고위급 통상 협의'를 갖고 사실상 최종 합의를 이어간다. 이 자리에는 앞서 출국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참석할 예정이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