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25일 취임사를 통해 “북한의 책임 있는 당국자들에게 제안한다”며 우선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해 노력하자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남북관계는 불일불이(不一不二)의 관계다. 하나도 아니고 둘도 아닌 관계”라면서 “이제 강대강의 시간을 끝내자. 선대선의 시간으로 바꾸자. 서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해서 노력하다보면 다시 머리를 맞대고 대화를 시작할 날도 올 것”이라고 말했다.
정 장관은 이어 “1991년 보수정부 아래서 맺었던 기본합의서에서 약속한 대로 남과 북은 서로 상대방의 체제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바탕 위에서 평화공존의 시대를 새롭게 열어가야 한다”며 “2000년 6.15공동선언과 10.4선언, 그리고 4.27 판문점선언과 9.19 평양공동선언의 정신으로 되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 여러분께도 호소드린다”며 “해묵은 냉전의 언어들을 단호하게 거부해 달라. 적대의 대결이 아닌 화해와 협력의 편이 되어달라. 평화의 편에 서주시라고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저는 오늘 첫 일정으로 판문점을 다녀왔다”면서 “대답이 없는 남북 직통전화기를 들고 벨을 길게 세 차례 눌렀다. 선이 끊어진 것인지 벨이 울려도 받지 않는 것인지, 전화는 먹통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긴장과 적막과 침묵으로 가득한 비무장지대(DMZ)를 뒤로 하고 판문점에서 서울로 돌아오는 차 안에서 저는 다시 한 번 무거운 마음으로 분단국가의 통일부 장관으로서 긴 전쟁을 끝내고 한반도의 평화 체제를 시작해야 할 역사적 소명을 마음속으로 가졌다”고 밝혔다.
|
 |
|
▲ 정동영 신임 통일부 장관이 2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직원으로부터 축하 꽃다발을 받고 있다. 2025.7.25./사진=연합뉴스
|
정 장관은 “이제는 ‘정책의 대전한’을 통해서 실종된 평화를 회복하고 무너진 남북관계를 일으켜 세워야 한다”며 “남북 간 평화 공존이 필요하고, 평화경제·공동성장의 길을 추진하며, 국민주권 대북정책을 펴겠다”고 했다.
또 “'평화가 전부는 아니지만 평화없이는 아무 것도 아니다'라는 서독 빌리 브란트 전 수상의 말처럼 지금은 평화의 시간이어야 한다. 평화가 경제이고 민생이며 안보와 생존의 토대”라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또한 지금은 공존의 시간이다. 상호 적대가 아닌 상호 공존을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가장 실용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 남북 간 끊어진 연락채널을 신속히 복구해야 한다. 작은 소통에서 시작해 큰 대화로 이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개성공단이 민간의 땀과 헌신으로 이뤄졌듯이 새로운 평화경제의 미래 역시 민간이 주도하게 될 것이라면서 ”가능한 빠른 시일 안에 남북 간 경제협력을 재개하고, ‘한반도 인공지능(AI) 모델’과 같은 첨단형 미래협력 모델도 모색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주권자인 국민이 남북관계의 통일 문제에 대해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조속한 시일 내 ‘사회적 대화 기구’를 출범하도록 할 것이다. 국회와 초당적 협력을 위한 방안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제안했다.
정 장관은 “저는 전주가 지역구인 국회의원이다. 하지만 통일부는 ‘제 신념의 지역구’”라면서 “이재명 대통령께서 저를 다시 통일부 장관으로 보낸 것은 무너진 한반도의 평화를 복원하고, 남북관계를 개선하라는 특명이라고 생각한다. 제게 다시 맡겨진 역사적 소명을 무겁게 안고, 모든 힘과 역량을 쏟아부을 것을 다짐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