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권의 '이자놀이'를 강도 높게 질타한 가운데 금융권은 향후 조성될 첨단·벤처·혁신기업을 위한 100조원 규모 펀드 조성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밝혔다.

   
▲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권의 '이자놀이'를 강도 높게 질타한 가운데 금융권은 향후 조성될 첨단·벤처·혁신기업을 위한 100조원 규모 펀드 조성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밝혔다./사진=금융위 제공.


금융위원회는 권대영 부위원장이 28일 은행연합회, 금융투자협회,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저축은행중앙회 등 협회장과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을 위한 협력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권 부위원장은 "그간 금융권이 부동산 금융과 담보·보증 대출에 의존하고 손쉬운 이자장사에 매달려왔다는 국민의 비판이 지속되고 있다"며 "금융이 시중 자금의 물꼬를 인공지능(AI) 등 미래 첨단산업과 벤처기업, 자본시장 및 지방·소상공인 등 생산적인 영역으로 돌려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뒷받침해 나가야 한다"고 요청했다.

이어 "정부는 금융회사가 생산적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데 장애가 되는 법, 제도, 규제, 회계와 감독관행 등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해 과감하게 바꾸겠다"며 "시대 여건에 맞지 않는 위험가중치 등 건전성 규제를 포함해 전반적인 업권별 규제를 조속히 개선하겠다"고 덧붙였다.

금융협회장들은 금융권이 향후 조성될 첨단·벤처·혁신기업 투자를 위한 민·관합동 100조원 규모 펀드 조성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또 민생경제 위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에게 금융지원을 확대하고, 소상공인 신용평가시스템을 구축, 활용해 금융 애로를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자본시장은 기업이 자금을 투자받고 국민이 성장의 성과를 공유받는 생산적 금융의 핵심 플랫폼인 만큼 자본시장, 투자로의 전환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업권별로는 은행권은 예대마진과 부동산 중심의 영업에 비판적 시각이 많은 점을 잘 알고 있으며, 그간의 영업 관행에서 탈피해 생산적 자금공급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했다. 금융투자업권은 자본시장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만큼, 좋은 기업을 선별해 모험자본을 공급하는 기업금융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보험권은 자본 건전성을 강화해 나가면서 생산적인 국내 장기투자를 늘려 나가기로 했다. 저축은행권은 9월 예금자 보호 한도 상향에 따른 자금 이동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지역·소상공인·서민 밀착 금융기관으로서 역할 재정립을 모색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금융감독원, 금융권, 시장참여자와 기업, 전문가 등과 함께 현장과 수요자 중심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생산적 금융 전환을 위한 금융혁신 과제를 선정·추진할 계획이다.[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