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대통령실은 28일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의 담화와 관련해 한반도 평화 정책을 위해 필요한 행동을 일관되게 취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이날 이재명 정부 들어 처음으로 ‘조한 관계는 동족이라는 개념의 시간대를 완전히 벗어났다’는 제목의 담화를 냈다.
대통령실은 “정부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북한 고위 당국자의 첫 대남 대화를 통해 표명된 북측 입장에 대해 유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몇 년간의 적대·대결 정책으로 인해 남북 간 불신의 벽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한 만큼 싸울 필요가 없는 상태인 평화 정착은 이재명 정부의 확고한 철학으로, 정부는 적대와 전쟁 없는 한반도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일관되게 취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
 |
|
▲ 이재명 대통령이 2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신임 국무위원 및 국세청장 임명장 수여식에서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인사하고 있다. 2025.7.28./사진=연합뉴스
|
통일부도 김여정 담화에 대해 북한당국이 이재명 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한반도 평화 공존을 위한 노력을 일관되게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이번 담화는 북한당국이 이재명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한다”면서 “지난 몇 년간의 적대 대결 정책으로 인해 남북 간 불신의 벽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구 대변인은 이어 “정부는 북한의 반응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화해와 협력의 남북관계를 만들고 한반도 평화 공존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차분히 일관하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김여정은 담화에서 “이재명 정부가 우리의 관심을 끌고 국제적 각광을 받아보기 위해 아무리 동족 흉내를 피우며 온갖 정의로운 일을 다하는 것처럼 수선을 떨어도 한국에 대한 우리 국가의 대적 인식에서는 변화가 있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는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으며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공식 입장을 다시금 명백히 밝힌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