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28일 8월 한미 연합 군사연습을 조정할 것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건의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미 연합훈련 조정을 건의할 생각인가’ 질문에 “그럴 생각이 있다”면서 “우리정부의 의지에 따라 조정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내일(29일) 외교·국방·통일부 차관, 국가정보원 차장, 국가안보실 차장 등이 참여하는 (국가안보실) 실무조정회의가 열리는데 여기에서도 해당 문제가 주요하게 다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장관은 “김여정 부부장 담화에도 8월 한미 군사합동훈련이 적시돼있는데, 그것이 가늠좌가 되지 않을까 한다”고 언급했다.
앞서 이날 오전에 나온 김여정 담화에는 “한미동맹에 대한 맹신과 우리와의 대결 기도는 선임자와 조금도 다를 바 없다. 우리의 남쪽 국경너머에서는 침략적 성격의 대규모 합동군사연습의 연속적인 강행으로 초연이 걷힐 날이 없을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
 |
|
▲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2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신임 국무위원 및 국세청장 임명장 수여식 후 대화하며 행사장을 나서고 있다. 2025.7.28./사진=연합뉴스
|
정 장관은 ‘한미 연합훈련 축소가 대내외의 반발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엔 “분명한 것은 이재명 정부의 정책 기조가 윤석열 정부의 정책 기조와 다르다는 것”이라며 “한미 연합훈련의 기조도 윤석열 정부를 이어받는 것이 아니다. 신중하게 할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정 장관의 발언과 관련해 이날 오후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미연합훈련 조정은 통일부 장관뿐만 아니라 국방부 장관 등 관련 부처 의견을 들어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정 장관은 이날 통일부에 ‘민간의 대북 교류를 위한 접촉을 전면 허용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법대로, (대북 접촉을) 허가제로 운영하지 않고 신고하면 수리하게 돼 있는 조항대로 하겠다”며 “신고만 하고 무제한 접촉하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정 장관은 대북정책의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통일부에 '국민주권 대북정책 추진단'이란 명칭의 사회적 대화기구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정 장관은 최근 유흥식 추기경이 판문점을 방문하려다 유엔군사령부(유엔사)에 의해 거절당한 일화를 공개하며 “유 추기경이 굉장히 서운해하며 ‘(유엔사가) 나를 막은 것을 알려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씀했다”며 “영토주권을 가진 나라로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