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주혜 기자] 국회 윤리특별위원회가 29일 여야 합의를 통해 더불어민주당 6명, 국민의힘 6명 등 총 12명으로 구성을 마쳤다.
22대 국회 출범 이후 1년 2개월 만으로 활동 기한은 내년 5월 29일까지다. 비상설특별위원회인 윤리특위는 국회의원 징계안 심사 권한을 가지며 현재 29건의 징계안이 표류 중이었다.
여야가 윤리특위 구성 결의안을 이날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결했지만, 비교섭단체 몫이 포함되지 않자 조국혁신당·진보당 등 소수 정당들이 반발했다.
|
 |
|
▲ 29일 에서 김병기 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5.7.29./사진=연합뉴스 |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은 "전체 의원의 8%에 해당하는 비교섭단체를 배제한 구성은 국민이 납득할 수 없다"며 "윤석열 내란 동조 국힘 의원 45명을 징계해야 한다는 민주당 입장까지 감안하면 생선가게를 고양이에게 맡긴 셈"이라고 비판했다.
윤종오 진보당 의원도 "징계안 29건 중 양당 의원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자당 의원 지키기로 변질될 우려가 있다"며 "교섭단체 요건 완화 필요성을 방증하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두 의원은 구성안을 '민주·국힘 6인'에서 '여야 6인'으로 수정하자고 제안했지만, 재적 25인 중 찬성 6인, 반대 15인, 기권 4인으로 부결됐다.
|
 |
|
▲ 29일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 종료 후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왼쪽)와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대화하고 있다. 2025.7.29./사진=연합뉴스 |
윤리특위는 본회의 표결을 거쳐 발족되며 이후 위원 인선이 확정된다.
한편 갑질 의혹을 받은 강선우 전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지난 대선 당시 여성 비하 발언 문제가 있었던 이준석 개혁신당 당대표와 관련한 징계안은 인선 확정 이후 심사될 예정이다.
[미디어펜=김주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