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최근 코스닥 거래대금이 5조원 수준에 머무르며 코스피 대비 매우 부진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최근 세법개정안을 두고 불거진 논란이나 당정이 ‘양도세 대주주 기준’을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하향조정하려는 등의 움직임이 투자심리 악화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코스닥에 상장된 주요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코스피 이전상장 의사를 밝히고 있어 일각에선 코스닥 시장 자체에 대한 근본적 회의론마저 제기된다.
|
 |
|
▲ 최근 코스닥 거래대금이 5조원 수준에 머무르며 코스피 대비 매우 부진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사진=김상문 기자 |
30일 한국거래소와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코스피 대비 코스닥의 거래대금이 낮은 수준을 맴돌며 부진한 모습이다. 금융투자협회 집계에 따르면 지난 29일의 경우 코스닥 거래대금은 5조1162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날 코스피가 12조7692억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한 것에 비해 절반 이하의 거래대금이다.
올해 초만 해도 양 시장 모두 거래대금이 10조원 미만으로 매우 부진하다는 점에서 상황이 비슷했지만, 코스피가 파죽지세의 상승세를 기록하기 시작한 5월 하순경부터 두 시장의 괴리가 벌어지기 시작했다.
지난 5월28일 거래대금 11조2388억원을 터트린 코스피 시장은 그 이후 6월2일(8조629억원), 7월25일(9조8222억원) 단 이틀을 제외하고는 한 번도 10조원 밑으로 내려온 적이 없다. 반면 코스닥 시장은 6월경부터 6-7조원대의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상승세를 공유했고, 6월24일엔 8조3375억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이달 들어선 5-6조원 대에서 거래가 정체된 모습이다.
코스피 대비 코스닥의 부진은 최근 들어 ‘코리안 디스카운트 해소’ 관련 기대감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주식 양도세를 내는 ‘대주주’ 기준을 기존 50억원에서 종전 10억원 수준으로 되돌리는 조치가 대표적이다. 이에 대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정상화하는 것”이라는 취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대주주 기준이 10억원 수준으로 잡혀있었던 과거 코스닥 시장은 10~12월 중 종목별로 느닷없는 급락세를 기록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곤 했다. 이는 양도세 회피물량이 돌발적으로 출회되기 때문인데, 이듬해 연초가 되면 어느 정도 물량이 회복된다곤 하지만 단기적으로 소액투자자들이 받는 충격은 결코 작지 않다는 지적이다. 코스닥 시장은 물론 국내시장 자체에 대한 회의감이 확산되는 이유로 양도세 관련 이슈가 자주 꼽히기도 한다.
가까스로 50억원 수준으로 밀어 올린 기준을 ‘정상화’라는 명분으로 끌어내리려는 시도에 대해 투자자들의 성토가 이어지고 있다. 코스피 시장이야 외국인 중심의 수급이 형성돼 있다지만 코스닥의 경우 개인 간의 거래가 활발한 편이라 이번 제도 개편의 타격이 꽤 클 것으로 보인다.
코스닥에 상장된 주요 기업들이 기회만 되면 코스피로 이전상장을 하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도 코스닥 성장을 막는 흐름에 힘을 더한다. 당장 지난 달에도 코스메카코리아가 유가증권시장 이전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스닥 시가총액 1‧2위인 알테오젠과 에코프로비엠 역시 코스피 이전상장을 원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만약 두 회사가 전부 코스피로 옮기면 당장 코스닥 시장의 시가총액 약 8.5%가 사라지는 셈이고, 시장 전체를 통틀어 시가총액 10조원을 초과하는 회사가 전무한 결과가 뒤따르게 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한창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감이 시장을 끌어올렸던 만큼 최근 상황에 대한 실망감이 매우 큰 것 같다”면서 “코스피 대비 코스닥의 취약성이 더욱 더 두드러지는 국면”이라고 우려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