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미국 내 선박 건조 신속 추진 요청”
“미국 농산물 개방 압력 막아내...실용외교 성과 거둬”
[미디어펜=권동현 기자]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0일(현지시간) 한미 조선협력을 담은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가 무역협상 타결에 가장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다.

한미 무역협상의 한국 측 수석대표였던 구 부총리는 이날 워싱턴 DC의 한국대사관에서 열린 한미 무역협상 타결 관련 브리핑에서 "오늘 합의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1500억 달러(약 209조원) 규모의 한미 조선협력 패키지, 즉 '마스가 프로젝트'"라며 이같이 밝혔다.

구 부총리는 마스가 프로젝트가 "미국 내 신규 조선소 건설, 조선 인력 양성, 조선 관련 공급망 재구축, 선박 건조, 유지보수(MRO) 등을 포괄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마스가 프로젝트가 "조선업 전반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수요에 기반해 사실상 우리 사업으로 진행될 예정"이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선박 설계·건조 능력을 가진 우리 조선 기업들이 미국 조선업 부흥을 도우며 새로운 기회와 성장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한국 조선업 능력을 높이 평가하면서 미국 내 선박 건조가 최대한 빨리 이뤄질 수 있도록 최대한 추진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구 부총리는 “반도체, 원자력, 액화천연가스(LNG) 등을 포함한 에너지, 2차 전지, 바이오, 의약품, 핵심 광물 등 경제 안보 분야에서 한미 양국의 전략적으로 중요하게 추진될 필요가 있다”며 “우리 기업들이 경쟁력을 보유한 분야를 위한 대미 금융 패키지도 2000억 달러 규모로 마련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주미한국대사관에서 열린 '한-미 통상협의 결과브리핑'에서 발표문을 낭독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구윤철 부총리,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2025.7.31./사진=연합뉴스 [기획재정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그러면 “이번 합의에서 향후 4년간 LNG 구매를 1000억 달러 규모로 확대하는 방안이 포함됐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농축산물에 대한 미국 비관세 장벽 축소 및 시장개방 확대 요구를 강하게 요청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과채류에 대한 한국의 검역 절차에 관심을 표명했다”며 “그러나 우리 협상단의 끈질긴 설명 결과, 미국은 우리 농업의 민감성을 이해하고 추가적인 시장개방은 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그는 “비관세 장벽과 관련해 앞으로 검역 절차 개선, 자동차 안전 기준 동등성 인정 상한 폐지 등을 포함해 기술적 사항에 대한 협의를 계속 이뤄나갈 것”이라며 “큰 틀에서 합의는 마쳤지만, 세부적인 내용은 미국과 추가 협의를 통해 채워 나가야 한다”고 전했다.

구 부총리는 이번 합의에 대해 “국익중심의 실용외교를 위해 지킬 것은 지켜내면서 감내할 수 있는 수준 안에서 한미 경제 관계가 심화하고 업그레이드되는 호혜적인 결과를 이뤘다”고 자평했다.
[미디어펜=권동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