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권동현 기자] 더불어민주당 3대특검 종합대응 특별위원회는 1일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윤석열 전 대통령을 둘러싼 특혜 의혹 제기에 나섰다. 특위는 윤 전 대통령이 사실상 구치소를 사무실처럼 활용했고 접견 과정에서 다수의 정치 인사들과도 접촉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전현희 민주당 3대특검특별위원장 등 특위 위원들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 전 대통령이 특검의 소환조사 요구에 7차례나 불응하면서도 서울구치소에서 하루 평균 5~6명의 접견을 받고 장시간 외부 인사와 대면했다”며 “이는 명백한 특혜이자 형집행기관의 공정성을 훼손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전 위원장은 “윤 전 대통령은 전체 구속기간 동안 총 348명을 접견했고 접견 시간은 총 395시간 18분”이라며 “서울구치소 내에 윤석열의 접견기록을 확인해본 결과 경악을 금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
 |
|
▲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3대특검 종합대응특별위원회 출범식에서 전현희 총괄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2025.7.30./사진=연합뉴스
|
그는 “윤 전 대통령이 근무시간(오전 9시부터 오후 6시)을 초과한 접견 17일, 주말 접견 6일을 기록했다”며 “이는 접견 제한을 받는 일반 수용자들과 비교해 명백한 불공정 사례”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윤 전 대통령을 접견한 인사에는 국민의힘 윤상현·권영세·김민전·이철규·김기현 의원이 포함됐다”며 “1차 구속 당시 정진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강의구 전 제1부속실장도 접견자 명단에 포함됐으며, 강 전 실장의 경우 접견 신청만 7회에 달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서울구치소에 “윤 전 대통령 강제인치 지휘에 협조하고 야간·특별접견 관련 내부 회의자료 및 허가 근거 자료를 즉시 국회에 제출하라”며 “국민의힘과 윤석열은 이에 대해 책임있는 입장을 표명해야 될 것”이라고 촉구했다.
특위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일반 접견실이 아닌 검찰·경찰의 조사실에서 변호인 접견을 진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구치소 측은 ‘경호상 이유’라고 해명했지만, 해당 조사실은 폐쇄적 구조에 외부 간섭 차단이 가능한 공간으로 특위는 구치소 내 조사실을 마치 개인 사무실처럼 활용한 것이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앞서 특위는 지난 달 31일 서울구치소를 방문해 현장점검 및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특검의 강제인치 협조를 촉구하기 위해 서울구치소장과 면담을 진행했다.
[미디어펜=권동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