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대북 인도지원사업을 추진하는 남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북민협) 회장단과 4일 취임 후 처음 만나 “북측과 접촉이 성사되면 남북협력기금 지원을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국회의원회관에서 면담을 가진 정 장관은 “작년에 남북협력기금 집행이 ‘제로’인 것은 경악할만한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정 장관은 최근 통일부가 민간의 대북 접촉을 제한하는 근거였던 ‘북한주민 접촉 신고 처리 지침’을 폐지한 것을 언급하며 “신고만 하고 자유롭게 만나시라”고 독려했다.
이어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이 계속 가동됐다면 지금 전혀 다른 남북관계가 되지 않았겠냐”며 민간이 남북관계 개선의 마중물 역할을 해달라고 주문했다.
|
 |
|
▲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대북 인도지원사업을 추진하는 남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북민협) 회장단과 만나고 있다. 2025.8.4./사진=통일부 제공
|
최창남 북민협 부회장은 “지금까지는 북한에 (한국이 아닌) 제3국적을 가진 활동가들만 들어갈 수 있었다. 이제 인도주의적인 것은 오픈된다고 하니 마음이 편해졌다”고 말했다. 지난해 정부와 민간 차원의 대북 인도적 지원은 단 한 건도 이뤄지지 않았다.
이와 함께 이번 만남에서 남북협력기금의 사용처를 남북 협력만이 아니라 평화교육 등 국내 사업으로 넓혀달라는 요청도 나왔다.
이기범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부회장은 “젊은세대가 남북관계에 관심이 없어지는 게 우려된다”며 남북협력기금 사용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이와 관련해 통일부는 남북협력기금 용도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통일부 관계자는 “남북 협력과 국내 평화 기반 조성사업에도 남북협력기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용도 확대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라며 “기금 용도 확대는 법률 개정이 필요하므로 국회와 협력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민협은 지난 1999년 대북 인도지원사업 단체들이 결성한 협의체로 월드비전, 국제푸른나무, 어린이어깨동무, 한국국제기아대책기구 등 67개 단체가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