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배소현 기자]카카오모빌리티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신규 보안 취약점 신고포상제' 공동 운영사로 참여한다.
| |
 |
|
| ▲ (왼쪽부터)이동근 한국인터넷진흥원 디지털위협대응본부 본부장, 최진욱 카카오모빌리티 정보보호최고책임자 상무가 5일 업무 협약식 진행 후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카카오모빌리티 제공 |
6일 카카오모빌리티에 따르면 사측은 전날 KISA와 신규 보안 취약점 신고포상제 공동 운영사 참여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는 KISA가 기업 보안 취약점 발굴과 선제 대응을 지원하는 '버그바운티 공동운영제도'의 일환이다.
버그바운티는 SW(소프트웨어)나 웹 서비스의 신규 보안 취약점을 발견해 신고한 화이트해커 등에게 포상금이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번 협약을 통해 카카오T, 카카오내비 앱과 웹서비스의 보안 취약점을 발굴하기 위한 보안 전문가의 참여를 확대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특히 LLM(대형언어모델) 기반 해킹 공격, 자동화된 해킹 도구, APT 공격(지능형 지속위협) 등 갈수록 고도화되는 해킹 위협에 대비하고 서비스 보안 수준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양사는 향후 신규 보안 취약점 신고포상제 전 과정을 공동 운영하고 신규 취약점 발견 시 보안패치를 개발하는 등 여러 분야에서 협력할 방침이다.
신규 보안 취약점 신고포상제는 보안 분야에 관심 있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KISA 사이버 보안취약점 정보 포털'에서 취약점을 신고할 수 있다.
최진욱 카카오모빌리티 정보보호최고책임자 상무는 "보안 취약점을 조기에 식별하고 개인정보나 기업 내 민감정보 유출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는 등 실질적이고 전방위적인 해킹 위협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모빌리티는 최근 올해 상반기 카카오 T에서 진행한 봉사활동 캠페인 '기브셔틀 2025'를 성료했다고 밝힌 바 있다.
'기브셔틀' 캠페인은 카카오모빌리티의 소셜 임팩트 캠페인 '프로젝트 201'의 하나로 지난해부터 시작한 '볼런투어'(자원봉사와 여행의 결합) 프로그램이다.
캠페인은 카카오 T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카카오 T 셔틀로 봉사자들의 무료 이동을 지원해 자원봉사 참여 진입장벽을 낮췄다.
운영 첫해인 지난해에는 △문화재 보호 △생태종 보호 △사회적 기업 탐방 △농촌 지역 돕기 △유기 동물 지원 등 다섯 개 테마로 진행됐다. 262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는 42%가 기브셔틀을 통해 봉사활동에 입문했다고 답했으며 평균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83점을 기록했다.
이 같은 성과에 힘입어 올해 캠페인 주제는 '환경보호 실천'으로 정했다. 사단법인 한국자원봉사문화와 공동 운영으로 세부 봉사 프로그램의 전문성을 강화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10월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한 플로깅 캠페인으로 기브셔틀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카카오 T 이용자뿐 아니라 카카오모빌리티 임직원까지로 참여 대상을 확대한 별도 기업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미디어펜=배소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