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부산항만공사(BPA)와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이 6일 줄잡이·화물고정업계와 간담회를 열고 항만 현장의 중대재해 예방과 제도 보완 방안을 논의했다.
|
 |
|
▲ BPA 송상근 사장이 5일, 부산 신항에서 줄잡이 업체 근로자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있다./사진=부산항만공사 |
이날 간담회에는 부산항에 등록된 관련 업계 대표를 비롯해 부산항만산업협회, 부산항만물류협회, 해양수산부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최근 항만 현장에서 반복된 중대재해와 더불어 폭염에 따른 온열질환 우려가 커지면서 실질적인 안전관리 개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자리가 마련됐다.
줄잡이와 화물고정작업은 선박 하역 시 필수적이지만, 사고 위험이 높은 고위험 작업으로 분류된다. BPA와 부산해수청은 작업환경과 방식 전반에 대한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제도적 미비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작업 중 겪는 애로사항과 개선 필요사항을 자유롭게 공유했으며, 관련 제도 개선과 지원 방향에 대한 다양한 제언도 이어졌다. BPA와 부산청은 간담회에서 수렴된 의견을 유관기관과 협의해 정책 개선 또는 제도 건의 방식으로 반영할 방침이다.
또한 정부와 전문 교육기관 협력을 통해 현장 작업표준을 고도화하고, 안전보건교육 내실화 방안을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
송상근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줄잡이 및 화물고정업은 선사와의 직접 계약에 따라 민간 자율운영 구조에 놓여 있어 제도적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며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관계기관과 함께 실질적인 제도 보완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혜정 부산지방해양수산청장은 “정부의 중대재해 제로화 정책에 발맞춰 항만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재해를 사전에 제거해야 한다”며 “현장에서도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동시에 정부도 안전작업 기준 개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BPA는 간담회에 앞서 5일 신항 2부두에서 줄잡이 작업에 대한 현장 안전점검을 실시하며 근로환경 개선에 나섰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